shadcn의 cli 중 하나인 add에 대해 공부하고 따라해 보았다.
브라우저 환경과 Node.js 환경에서 setTimeout의 실행 결과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React Native에서 Firebase의 Cloud Firestore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ORM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Prisma에 대해 알아보았다.
EC2 + 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를 해보았다.
Pull Request에서 사용되는 Create a merge commit, Squash and merge, Rebase and merge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package.json에 있는 dependencies, devDependencies, peerDependencies에 대해 알아보았다.
디스코드에 직접 만든 봇을 추가해서 스터디 관리를 해보자.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해 보자.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스코드 봇을 배포해 보자.
무심코 지나쳤던 package.json의 type에 대해 알아보았다.
프론트엔드 아키텍처 방법론 중 하나인 FSD 아키텍처에 대해 알아보았다.
Vite를 이용하여 나만의 컴포넌트를 배포해보자!
Next에서 HTTPOnly Cookie를 이용한 유저 인증 로직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WebP를 통한 이미지 최적화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eslint plugin을 이용하여 import문을 정렬해 보았다.
Expo를 이용하여 애플, 구글, 카카오, 네이버 소셜 로그인을 진행해 보았다.
expo에서 FCM을 이용한 푸시 알람을 보내보았다.
I/O System이 코딩 테스트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React Native에서 MSW를 이용하여 API mocking을 진행해 보았다.
MSW에서 쿼리 파라미터가 들어간 요청을 모킹할 때 마주한 오류에 대해 작성해 보았다.
React 공식문서 톺아보기 첫 번째로 useOptimistic에 대해 알아보았다.
React 공식문서 톺아보기 두 번째로 use에 대해 알아보았다.
Composition Event로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며 Composition Event 개념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Next.js에서 쿠키 삭제가 안 되는 문제를 마주했고, 이를 해결하며 쿠키에 대해 더 알아보았다.
《Do it! JSCODE의 AWS 입문》 서평단에 당첨되어 책을 읽고 후기를 작성해 보았다.
인턴하는 곳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Turborepo로 마이그레이션하면서 공통 컴포넌트를 관리하는데 Storybook을 추가하기로 했다. 또한 SVG를 React 컴포넌트로 활용할 때 SVGR을 사용하여 관리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글에서는 SVGR 세팅 과정에서 겪
인턴했던 프로젝트에서 마주했던 오류를 해결하며 Github Actions 환경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Vercel + Turborepo 조합에서 packages 모듈을 찾지 못하여 배포를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해 보았다.
Nginx에서 client_max_body_size로 인한 413 에러를 해결해 보았다.
Typescript의 import type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다.
Google Analytics를 통해 Web Vitals를 측정해 보는 과정을 글로 작성해 보았다.
Next.js에서 Streaming SSR을 이용하여 UX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Turborepo 환경에서 packages에 있는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CSS가 누락되는 문제를 해결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