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프로젝트를 들어가면서 조원들 중에 잘하는 사람도 많고 열심히 하는 사람도 많아서 배우면서 차근차근 하고 있다. 잘하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지 시작부터 엄청 체계적이고 협업할 수 있는 툴에 대해서도 많이 알려주면서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아직 잘 모르는 저 입
오늘 또 팀원분들과 프로젝트를 하면서 git에 대해서 한층 더 알게 되었다. 팀에 잘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여러가지를 배울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 오늘 프로젝트를 작성하는데 실수로 branch를 만들지 않고 우리가 항상 merge하는 branch에 작업을 하고 있었다
로그인 폼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json 형식으로 넘겨주는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데이터가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이 안되서 웹페이지에서 콘솔을 찍어봤다.처음에는 어떻게 확인해야 되는지 몰라서 갈팡질팡 하고 있었는데 친절한 팀원분이 도와주셔서 차분하게 콘솔 찍고 확인할 수
더 이쁜 alert창을 띄우기 위해서 팀원분이 추천해주신 sweetalert을 활용하기로 했다.처음에는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방법으로 했는데 화면이 나왔다가 바로 사라지더라고요. 그래서 timer을 걸었는데도 계속 창이 나왔다가 0.1초만에 사라지더라고요. 팀원가 소통해
em과 rem을 써서 css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사실 처음에는 어떤 차이인지 몰랐다. 둘다 부모요소한테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는데 조금의 차이가 있었다.내가 이해한 내용은 em은 바로 자기가 감싸진 부모요소를 말하고 rem은 최상위 요소를 말한다. 최상위
화면에 중앙으로 배치가 안되서 이거 왜이러지 하면서 코드를 찬찬히 봤다.
css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background가 제대로 들어가지를 않더라고요... 훌륭하시 팀원분이 height를 100vh로 사용해보라고 도움을 주셔서 사용했는데 background가 잘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팀원분이 알려줬을 때는 아 저거 그냥 쓰면
내 정보 공개 여부를 처음에 radio를 사용해서 공개 비공개로 클릭할 수 있게 했는데 공개를 선택했을 때는 js에서 받아서 server로 값을 옮기는데 비공개로 바꾸고 보내니까 잘 안보내지더라고요. 두 개가 공개 비공개로 나눠져있어서 공개를 선택한 것과 비공개를 선택
프로젝트를 하면서 hover 기능을 넣을 일이 있었는데 hover를 하니까 글씨가 나오면서 밑에 있는 줄이 깨지더라고요. hover를 했을 때 나오는 글은 display 속성을 none으로 했는데 왜 깨지는 지 이유를 알 수 없었습니다. 옆에서 보던 훌륭한 팀원분이 d
이번에 프로젝트가 끝나고 BackEnd쪽 수업을 진행했다. docker를 이용해서 oracle과 mysql을 연결하고 eclipse를 통해서 DB와 연동하면서 웹에 데이터를 찍어낼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말 알고 싶었던 부분이고 궁금했던 부분이고 어떻게 DB
제목에 보이는 오류를 만났을 때 직감적으로 전에 project를 실행한 것이 아직 tomcat에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아래 그림에서 와 같이 Tomcat에 걸려있는 project를 제거했다.하지만 제거했는데도 불구하고 같은 오류가 나왔다. 그래서 찾
JSTL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뜬다면 jstl파일의 위치를 확인해야한다.저는 WEB-INF파일 안에 lib에 jstl을 넣었는데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았다. 분명 맞게 넣었는데 이상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은 밑에를 따라해보시기바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