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내부 저장소와 외부 저장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안드로이드 SharedPreferences 와 DataStore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Hilt Hilt를 기준으로 kapt에서 ksp를 변경할 경우를 예시로 들어보려고 합니다. build.gradle(:project) build.gradle(:app) kap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처럼 진행됩니다. 하지만 ksp를 사용할 때는 어떤점을 고려하고
디프만 15기 안드로이드팀에서 야구장 시야 서비스를 제공하는 SPOT 앱에서 야구장 구역을 클릭하고, 줌이 가능하도록 구현해야 했습니다. 네이티브에서 야구장 UI, 거기에다가 구역별로 클릭 이벤트 리스너를 다는 것을 구현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이였습니다.디자이너의 요청은
이 둘의 차이점은 file extensions 문자 수가 다른 것 이외에는 없다.file extensions 은 file name.file extensions 라고 생각하면 된다.JPG 와 JPEG는 pixel 단위로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확대를 하면 이미
들어가기 앞서 “모티부”라는 앱 서비스에서 운동을 완료한 뒤, 사진을 저장하여 유저에게 보여줍니다. 하지만 개발측에서는 이미지를 서버에 바로 저장하지 않고 AWS S3를 이용하여 우회하여 이미지를 클라우드 서버 DB에 직접적으로 저장합니다. 이는 서버의 트래픽을 줄입니다. S3 라는 데이터 저장소에도 용량이 존재합니다. 큰 이미지를 가져다가 넣으면 그 만큼...
이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원형 프로그래스 바가 증가할 때, 그 증가에 따라서 이미지도 이동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고민할 때는 크게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간단하게 원의 테두리 좌표를 구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면 삼각함수를 꺼내서 진행했습니다.참고 자료원의
지금 원형 프로그래스 바를 제작을 진행하고, 원형 프로그래스 바를 따라다니는 이미지가 존재합니다. 이 이미지를 canvas로 어떻게 만들어야하는 가? 에 대해서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찾아보니 오래되다보니 레퍼런스도 많이 없었습니다. canvas 메서드를 찾아보다가
디자인에서 원하는 뷰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계방향으로 올라오는 것과 반 시계방향으로 올라오는 원형 프로그래스 바를 제작해야하는 점이 었습니다. 기존에 사용되는 drawArc 메서드는 시계 방향으로 그려지며, 왼쪽 원형 프로그래스 바는 0~120 비율만큼 시계방향으로 움직
canvas는 onDraw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흰 도화지에서 그림을 그려넣는 것입니다.간단하게 drawRect 메서드를 사용해서 canvas 동작에 대한 이해를 도우려고 합니다.이렇게하고 실행해보면, 하얀 화면만 나옵니다. 그 이유는 하얀 사각형을 보여주니
커스텀 뷰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해당 뷰는 canvas를 사용해서 직접 원형 프로그래스바를 그리며, 이미지도 넣어야 하니 View를 상속받는 커스텀 뷰 클래스를 만들어보려고 한다.모티부라는 앱 서비스는 부모가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여러 기기에서
“모티부”라는 서비스의 앱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커스텀 뷰를 만들어야 했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진행하려고 합니다. 자녀와 부모의 걸음을 원형 프로그래스 바로 나타내야했던 모든 과정을 낱낱이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필자는 해당 주제를 발단, 전개, 결론 순서대로
SOPT 세미나를 진행하고, 세미나에서 배운 지식을 디자인과 서버와 협업하면서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그것이 Client, Design, Server 합동세미나 CDS 합동세미나입니다. 저는 합동세미나를 하면서 해보고 싶은 스스로의 도전과제는 아키텍처 패턴을
2023년 11월 25일 토요일 SOPT 에서 진행하는 해커톤 솝커톤이 개최된 날입니다. 저는 해커톤이라는 것을 솝커톤을 통해서 처음으로 경험하게되었습니다. 해커톤은 정해진 시간내에 팀 빌딩하여 주제에 맞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산출물을 내놓는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