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N training

짱J·2022년 4월 10일
0
post-thumbnail

Preparing Data with Numpy

  1. Lecture 3에서 했던 것처럼 fish_length, fish_weight 배열을 만든다.

2-1. (기존) zip 함수를 이용하여 길이와 무게를 리스트로 합침

fish_data = [[l, w] for l, w in zip(fish_length, fish_weight)]

2-2. (Numpy 사용) column_stack 함수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리스트를 일렬로 세운 다음 차례대로 나란히 연결

fish_data = np.column_stack((fish_length, fish_weight))
  1. 앞 35개는 1, 뒤 14개는 0으로 target을 설정

Split set with scikit-learn

Lecutre 3에서는 배열의 인덱스를 직접 섞어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를 만들었다.
이번에는 더 간편하게 scikit-learn을 사용해서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를 만들어보자.

train_test_split() 함수를 사용하면 전달되는 리스트나 배열을 비율에 맞게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로 나누어준다.
또한, 나누기 전에 알아서 섞어준다 : )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train_input, test_input, train_target, test_target = train_test_split(
    fish_data, fish_target, random_state=42
)

print(test_target)
# [1. 0. 0. 0. 1. 1. 1. 1. 1. 1. 1. 1. 1.]

fish_data, fish_target 2개의 배열을 전달했으므로, train과 test 각각에 대한 input, 각각에 대한 target
총 4개의 배열이 반환된다.

13개의 테스트 세트 중에 10개가 도미(1)이고, 3개가 빙어(0)입니다.

잘 섞인 것 같지만 빙어의 비율이 조금 모자르다.
원래 도미와 빙어의 개수가 35개와 14개이므로 두 생선의 비율은 2.5:1 입니다.

하지만 이 테스트 세트의 도미와 빙어의 비율은 3.3:1로, 샘플링 편향이 나타났다.

train_test_split() 함수에서 stratify 매개변수에 타깃 데이터를 전달하면 클래스 비율에 맞게 데이터를 나눕니다.
훈련 데이터가 작거나 특정 클래스의 샘플 개수가 적을 때 특히 유용하다.

train_input, test_input, train_target, test_target = train_test_split(
    fish_data, fish_target, stratify=fish_target, random_state=42
    )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scikit-learn 라이브러리를 통해 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1. KNeighborsClassifier 모델 생성
  2. fit은 데이터 값에 맞춰 훈련을 하는 메소드이다.
  3. score은 정답의 비율을 반환하는 함수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반환한다.
    1을 반환하면 모든 데이터를 정확히 맞혔다는 것을 의미한다.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KNeighborsClassifier

kn = KNeighborsClassifier() # 1. 모델 생성

kn.fit(train_input, train_target) # 2. 모델 학습
kn.score(test_input, test_target) # 3. 모델 평가

하지만, 길이가 25이고 무게가 150인 도미 데이터를 넣고 결과를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빙어(0)로 잘못 예측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산점도를 그려 데이터를 확인해보자. (scatter -> xlabel, ylabel -> show )

print(kn.predict([[25, 150]]))
# [0.]


이 샘플은 분명히 오른쪽 위로 뻗어 있는 다른 도미 데이터에 더 가까운데도 왼쪽 아래에 깔린 빙어 데이터에 가깝다고 판단한다.
K-NN은 주변의 샘플 중에서 다수의 클래스를 예측으로 사용한다.

이 샘플의 주변 샘플을 알아보자. KNeighborsClassifier 클래스의 kneighbors() method는 이웃까지의 거리와 이웃 샘플의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KNeighborsClassifier 클래스의 이웃 개수인 n_neighbors의 기본값은 5이므로 5개의 이웃이 반환된다.

distances, indexes = kn.kneighbors([[25, 150]])

plt.scatter(train_input[:,0], train_input[:,1])
plt.scatter(25, 150, marker='^')
plt.scatter(train_input[indexes,0], train_input[indexes,1], marker='D')   # marker 매개변수로 모양을 지정
plt.xlabel('length')
plt.ylabel('weight')
plt.show()


삼각형 샘플에 가까운 5개의 샘플이 초록색 마름모로 표시되었다.

print(train_input[indexes])
# [[[ 25.4 242. ]
#  [ 15.   19.9]
#  [ 14.3  19.7]
#  [ 13.   12.2]
#  [ 12.2  12.2]]]

print(train_target[indexes])
# [[1. 0. 0. 0. 0.]]

직접 훈련 세트 데이터를 확인했을 때에도 가까운 생선 4개가 빙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distance 배열을 출력해보자.

print(distances)
# [[ 92.00086956 130.48375378 130.73859415 138.32150953 138.39320793]]


산점도를 다시 살펴 보면, 삼각형 샘플에 가장 가까운 첫 번째 샘플까지의 거리는 92이고, 그외 가장 가까운 샘플들은 모두 130, 138이다.

그래프에 나타난 거리 비율이 이상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x축은 10~40으로 범위가 좁고, y축은 0~1000으로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y축으로 조금만 멀어져도 거리가 아주 큰 값으로 계산되고, 이로 인해 도미 샘플이 이웃으로 선택되지 못했다.

이는 x축은 범위가 좁고(10 ~ 40), y축은 범위가 넓기(0 ~ 1000) 때문이다. 따라서 y축으로 조금만 멀어져도 거리가 아주 큰 값으로 계산되어 오른쪽 위의 도미 샘플이 이웃으로 선택되지 못했던 겁니다.

이를 눈으로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x축의 범위를 동일하게 0~1,000으로 맞추어 보겠습니다.

xlim() 함수로 x축의 범위를 동일하게 0~1000으로 맞추고 산점도를 다시 확인해보자.

plt.scatter(train_input[:,0], train_input[:,1])
plt.scatter(25, 150, marker='^')
plt.scatter(train_input[indexes,0], train_input[indexes,1], marker='D')
plt.xlim((0, 1000))
plt.xlabel('length')
plt.ylabel('weight')
plt.show()

x축과 y축의 범위를 동일하게 맞추었더니 모든 데이터가 수직으로 늘어선 형태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데이터라면, 생선의 길이(x축)는 가장 가까운 이웃을 찾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로지 생선의 무게(y축)만 고려 대상이 된다.

이렇게 두 특성(길이와 무게)의 값이 놓인 범위가 매우 다른 것을, 두 특성의 스케일(scale)이 다르다고도 말한다.


Data Processing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준이 다르면 알고리즘이 올바르게 예측할 수 없다.
이런 알고리즘들은 샘플 간의 거리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제대로 사용하려면 특성값을 일정한 기준으로 맞춰 주어야 한다.

이런 작업을 데이터 전처리(data preprocessing) 라고 부른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전처리 방법 중 하나는 표준점수(standard score)이다.
표준점수는 각 특성값이 평균에서 표준편차의 몇 배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실제 특성값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평균을 빼고 표준편차를 나누어 주면 된다.
이 때, 특성마다 값의 스케일이 다르므로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 특성별로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 axis=0 으로 지정한다. 이렇게 하면 행을 따라 각 열의 통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mean = np.mean(train_input, axis=0) # 각 특성 별로 계산
std = np.std(train_input, axis=0)

# 평균을 빼고 표준편차를 나누기
train_scaled = (train_input - mean) / std


Train a model with preprocessed data

new = ([25, 150] - mean) / std

plt.scatter(train_scaled[:,0], train_scaled[:,1])
plt.scatter(new[0], new[1], marker='^')
plt.xlabel('length')
plt.ylabel('weight')
plt.show()


앞서 표준편차로 변환하기 전의 산점도와 거의 동일하다.
차이점은 x축과 y축의 범위가 -1.5 ~ 1.5 사이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제 훈련 데이터의 두 특성이 비슷한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 다시 K-NN 모델로 훈련을 해보자.

kn.fit(train_scaled, train_target)
test_scaled = (test_input - mean) / std
kn.score(test_scaled, test_target) # 1.0
print(kn.predict([new])) # [1.]

이번에는 예측(predict)을 했을 때, 도미로 제대로 예측한 것을 볼 수 있다.
산점도를 다시 그려 확인하면,

이번에는 세모 모양 샘플과 가장 가까운 이웃 5개가 모두 도미인 것을 볼 수 있다.


Overfitting & Underfitting

kn = KNeighborsClassifier()
kn.fit(train_input, train_target)

for n in range(5, 50):
    # 최근접 이웃 개수 설정 (5부터 50까지)
    kn.n_neighbors = n
    
    # 점수 계산
    score = kn.score(test_input, test_target)
    
    # 100% 정확도에 미치지 못하는 이웃 개수 출력
    if score < 1:
        print(n, score)
        break
        
# 20 0.9230769230769231

예시를 하나만 들었지만, 이렇듯 score은 항상 1이 아니고 바르지 못하게 예측한 값이 나오게 된다.

mglear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위해서는 pip를 이용하여 설치를 해주어야 한다.

!pip install mglearn
import mglearn

fig, axis = plt.subplots(1, 3, figsize=(10, 3))

for n_neighbors, ax in zip([2, 5, 30], axis):    
    # 모델 훈련
    clf = KNeighborsClassifier(n_neighbors=n_neighbors).fit(train_scaled, train_target)
    # 산점도 제작
    mglearn.plots.plot_2d_separator(clf, train_scaled, fill=True, eps=0.5, ax=ax, alpha=.4)
    mglearn.discrete_scatter(train_scaled[:, 0], train_scaled[:, 1], train_target, ax=ax)
    ax.set_title("{} neighbor(s)".format(n_neighbors))
    ax.set_xlabel("feature0")
    ax.set_ylabel("feature1")
    
axis[0].legend(loc=3)
plt.show()

k가 작을 때는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며, 평균값과 큰 차이가 있는 데이터(Noise)가 많이 있다. (현재 데이터는 갯수가 작아 잘 보이지 않는다.)
-> Underfitting

k=30일 때는 너무 둔감하게 반응하고, 그룹의 경계에 대한 변별력이 없다.
-> Overfitting

profile
[~2023.04]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ㅎㅎ https://leeeeeyeon-dev.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