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에서 서브쿼리를 작성해 임시테이블을 활용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인라인 뷰(Inline View)와 WITH 구문(CTE, Common Table Expression)이야. 인라인 뷰(Inline View)는 FROM 절에서 서브쿼리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임시 테이
employees 테이블: 직원 정보를 저장| 컬럼명 | 데이터 타입 | 설명 |\|------------\|-------------\|----------------\|| emp_id | INT | 직원 ID
SQL에서 ROLLUP과 CUBE는 그룹별로 다양한 수준의 집계 데이터를 생성할 때 유용한 함수다.둘 다 GROUP BY 절과 함께 사용되며, 계층적인 집계를 만들 수 있다.하지만 두 함수의 동작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ROLLUP과 CUBE의 개념을
문제 상황다음과 같은 orders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하자.order_id customer product price1 A Apple 1002 A Banana 2003 B Apple 1504 B Banana 2505 B Apple 300이제 고객(customer)별 총
CoCo본드와 후순위채권은 최초 옵션 행사일을 만기일로 본다는 내용을 보고 정리해봤다📌 최초 옵션 행사일이란?최초 옵션 행사일(First Call Date)은 발행자가 최초로 조기 상환(Call Option)을 행사할 수 있는 날짜를 의미해.즉, 채권의 원래 만기보
having은 group by 뒤에 group by에 의해 그룹화된 결과에 대해 적용된다. where처럼 개별 행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예시를 보자.🎯 부서별 평균 급여가 5000 이상인 부서만 조회하기여기서 HAVING은 부서에 의해 그룹화된 각각 부서그룹에
SQL 실행순서 , select문에서 sql의 실행순서1.from,join2.where3.group by4.having5.select6.order by
참조: https://inpa.tistory.com/entry/JAVA-%E2%98%95-%EC%9E%90%EB%B0%94%EB%8A%94-Call-by-reference-%EA%B0%9C%EB%85%90%EC%9D%B4-%EC%97%86%EB%8B%A4-%E
JVM(Java Virtual Machine)은 운영체제로부터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 이 할당받은 메모리의 구조에 대한 글이다.실제로 생성된 객체(인스턴스)가 저장되는 영역.런타임시 동적으로 할당한다.(객체가 생성되면 heap영역에 할당)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다.(St
javac.exe는 컴파일러로, .java로 끝나는 자바 소스코드파일을 바이트 코드(.Class로 끝나는 파일)로 컴파일한다.java.exe는 인터프리터로, 컴파일된 바이트코드를 해석하고 JVM에서 실행한다.
Elastic file system의 약자,EBS와는 다르게 여러 ec2에 연결가능하다.EFS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보안그룹을 거쳐야 한다.Linux기반의 AMI만 호환가능NFSv4.I 프로토콜 사용미리 용량을 설정할 필요 없이 쓰는만큼 확장되고 그에 따라 과금된다.EF
특별한 타입의 ec2 instance로, ec2 instance에 연결된 하드웨어의 IO성능이 매우 좋다. 따라서 버퍼나 캐시 같은 일시적인 스토리지로 좋다.단, ec2를 stop했을 때 데이터가 날아가기 때문에 장기적인 스토리지로 적합하지 않다. 장기적인 스토리지는
Amazon Machine Image의 약자로, EC2를 시작하기 위한 기본 세팅의 모음이다.( EC2를 시작하기 위해 OS, 아키텍쳐 타입, 저장공간 용량등을 세팅해놓은 것)참고: https://velog.io/@ghldjfldj/AWS-AMI%EB%9E%8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저장하는 스토리지다. (파일 단위가 아니라 블록 단위로 다루서 I/O가 빠르다.), ec2 생성시 자동으로 EBS 볼륨 하나가 ec2에 연결된다.특정 EC2에 연결할 수 있다.특정 가용영역(avaliability zone)에 종속된다.하나의 EBS볼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한 자료구조, 컬럼의 값을 사용하여 항상 정렬된 상태를 유지(예를 들어, employee 테이블이 있다면 department가 index가 될 수 있다.)MYsql innoDB에서는 B+tree같은 변형 B-tree로 이루어져 있다.참고: http
ec2 인스턴스를 잠자기 모드로 만드는 것. OS를 종료하지 않고 RAM에 있는 데이터를 EBS에 저장해놓는다. 그래서 부팅시 엄청 빠르다. (stop, terminate보다 약한 '절전모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ebs는 AWS에서 할당해준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된
ec2에 붙는 가상의 랜카드라고 보면된다. (랜카드: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 그래서 ec2를 서브넷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원래 ec2는 서브넷 안에 있는거 아닌가?란 생각이 들었는데 사실은 ENI가 서브넷 안에 있고 이걸 통해 서브넷에
EC2 인스턴스가 어떻게 AWS 인프라에 배치되는지를 제어하는 방식모든 ec2 인스턴스가 동일한 가용영역(availability zone)에 있음네트워크가 빨라서 계산작업에 유리함, 다만 가용영역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인스턴스가 장애를 겪음ec2 인스턴스들이 다른 하드
쓴만큼 낸다. 그래서 비쌈기간을 정해 대여받고 할인받는다'기간을 정해놓고 그 기간동안 시간당 얼마 내겠다' 이런 식으로 가격을 정하고 할인 받는데, 정해진 용량보다 더쓰면 On-demand요금 적용됨On-demand에 비해 가격이 가장 저렴함. 최대가격을 정해서 지불하
EC2에는 IAM 역할을 부여해야지 Configure에서 Access키, Secret Access키 등을 부여하면 안된다(보안상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Access키가 Ec2에 속하면 Ec2에 접속하면 Access키가 탈취될 수 있다. 사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는데 나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