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할 때 필요한 것이 포트포워딩이다.iptables를 이용해서 포트를 열어줄 수도 있지만, 이번에는 ufw를 이용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포트를 열어줄 것이다.sudo ufw status verbosesudo ufw enablesudo u
본 글의 상당 자료는 인과추론의 데이터과학 강의를 참고하였음을 미리 알립니다. FCI 알고리즘을 설명하기에 앞서 앞장에서 먼저 PC 알고리즘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FCI 알고리즘과 PC 알고리즘의 가장 큰 차이는 노드 사이에 Unmeasured confounder
현재 학교에서 계절학기로 Causal discovery에 관해 연구를 진행중이다.4명의 인원이 각각 PC, FCI, NO TEARS, DAG-GNN 알고리즘을 분담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Sachs 데이터의 Causal Graph를 도출하여 서로 공유하는 것을 목
커맨드라인 환경에서 cURL을 사용하여 서버에 REST API 요청을 보내 보려고 한다.우선, 맥북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brew install curl$ curl -X POST -H "Content-Type: application/js
현재 졸업 프로젝트로 진행한 감성일기 앱을 구글스토어와 원스토어에 배포하기 위해 모델 API 서버를 aws에 올리는 것을 진행하고 있다.서버 비용이 부담되니 1년간 무료로 쓸 수 있는 free-tier를 통해 진행하고 있는데, 그 과정이 순탄치 않다.....최근에 공부
인공지능 모델에 학습시키기 위한 다양한 텍스트 전처리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단순하게 특수문자 제거 및 반복문자 제거를 위한 전처리 방법만을 기록해 놓는다.df'text' = df'text'.apply(lambda x: re.sub("^ A-Za-z0-9가-힣"
주피터를 잘 사용하다가 갑자기 HTML 관련 서버 에러가 뜨면서 코드들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참 대회 준비하느라 바빴는데 이 에러를 고치느라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검색해보니 해결책은 생각보다 간단했다.아래 라이브러리 버전을 설치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었
제공 데이터 형식은 json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장이 주어지면, 해당 문장에 등장한 개체&속성 쌍들과 그 쌍 각각에 대한 극성(Positive, Neutral, Negative) 값으로 이루어져 있다.도메인은 화장품, 자동차 부품, 생활용품 등 쇼핑 분야이다
과제에서 사용하는 말뭉치는 국립국어원이 구축한 '속성 기반 감성 분석' 말뭉치입니다. 속성 기반 감성 분석이란 언어에 나타난 개체의 속성 정보에 대한 극성을 분류하는 과제입니다. 참가팀은 입력 문장에 대해 (1)속성 범주(예: 제품 전체제품 전체- 본품- 패키지/구성품
이모지 및 특수문자 제거반복문자 정규화(최대 2개로) (ex. ㅋㅋㅋㅋ - > ㅋㅋ, 우와아아아아-> 우와아아)영어 및 숫자 제거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api인 gooletrans api 이용하여 한글 -> 영어 -> 한글 거쳐 데이터 증폭기존 7가지 감정 (neutr
AI hub에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다양한 오픈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그 중, 감정 분류를 위한 대화 음성 데이터셋이 데이터의 질이 다른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괜찮아 보여서 이용하려고 한다.해당 데이터셋은 총 7개의 감정(happiness, angry, disgus
회사에서 업무를 보다 팀 동료로부터 엑셀을 판다스 데이터프레임으로 불러왔을 때, string type으로 불러오는데, 이를 리스트 형식 그 자체로 불러오고 싶은데 방법이 없겠냐는 질문을 받았다. 한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문제라 궁금증이 생겼다. 위 데이터프레임에서 0
https://web1-nmpi4lrmlw.disqus.com/admin/install/platforms/universalcode/
1) https://www.bitballoon.com/2) https://neocities.org/3) Amazon S34) Google Cloud Storage5) Azure Blob
delete 키워드를 이용하면 메모리 공간에 할당된 객체의 속성을 삭제할 수 있다.단, 객체 자체를 삭제할 수는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delete 연산이 성공했을 경우나 존재하지 않는 속성이라 아무런 연산도 하지 못할 경우 true가 출력되고, 실패할 경우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