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P
using namespace std;unsigned char flag; //부호를 없애야 >>을 하더라도 부호비트가 딸려오지 않음.int main(){ //비트연산 //비트 단위의 조작이 필요할 때 //- 대표적으로 BitFlag //- bitwise not // 단일
유의사항 1) 변수의 유효범위스택 내부에 선언된 변수는{ } 중괄호의 범위가 생존 범위이다.같은 이름 두번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인위적으로 중괄호를 만들어 주는 방법이 있음2) 연산의 우선순위연산자들은 우선순위가 있으니 주의해야한다괄호를 사용하여 우선 순위를 정해주자3
결론: Enum은 매우 유용한 기능이니 항상 사용을 염두에 두자!
f5: 다음 정지까지 실행f10: 함수 단위로 실행f11: 한줄 단위로 실행shift + f5: 디버깅 중지
TYPE은 왜 붙여줄까? = 포인터의 의미 =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 크기고정인 포인터를 왜 타입을 지정하는가?추가 정보를 주기 위함주소에 어떤 데이터형이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
다차원 배열 모든 배열의 주소는 붙여서 나온다! 배열의 다음 주소는 현재 주소 + 데이터형의 값 ex) int 일 경우 현재 주소 +4byte 다차원 배열의 경우 각 배열의 시작주소는 배열 크기만큼 곱하면 됨 ex) int 3의 경우 int0의 주소 +(
#include using namespace std; //함수 포인터 //언리얼은 STL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알아두면 좋다.(서버관련 작업 시) //STL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함수 포인터에 대해 알아야한다 int Add(int a, int b) {
#include using namespace std; //함수 포인터 // typedef의 진실... // typedef 왼쪽 오른값 -> 오른쪽 (커스텀 타입 정의) // 정확히는 왼쪽/오른쪽 기준이 아니라 // [선언 문법]에서 typedef을 앞에다 붙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템플릿 기초 // typename T를 붙이면 '조커카드' (어떤 타입도 다 넣을 수 있음) // 그런데 무조건 typename을 붙일 필요는 없다. // template안에 들어가는건 [골라줘야 하는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오늘의 주제 : vector int main() { //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 // 프로그래밍할 때 자료구조/알고리즘들을 // 템플릿으로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오늘의 주제 : vector int main() { // vector [동적 배열] // - vector의 동작 원리 (size/capacity) // - 중간 삽입/삭제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오늘의 목표 : 야매로 벡터 클래스를 만들어보자 template class Iterator { public: Iterator() :_ptr(nullptr){ } Iterato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List // vector 동적배열 // [ ] // 단일 / 이중 / 원형 // list : 연결 리스트 class Node { publ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오늘의 목표 : List를 야매로 만들어보자! template class Node { public: Node() :next(nullptr), prev(nullpt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Deque // Vector : 동적 배열 // [ ] // List : 이중 연결 리스트 // [] [] [] // Dequ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set, multimap, multiset int main() { // SET //( Key,Value )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알고리즘 #include int main() { // 자료구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 // 알고리즘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auto class Knight {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중괄호 초기화 { } class Kni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nullptr class Knight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using // 코드가 너무긴 데이터형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enum class (scoped enu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override, final class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오른값(rvalue) 참조와 std::m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보편 참조(universal refer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 Modern C++ (C++11 부터 나온 아이들) // 람다(lambda) // 함수 객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