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10 기준required: wsl2, docker, docker-compose사용법아래 텍스트 .yml 확장자로 저장1) wsl -d docker-desktop2) sysctl -w vm.max_map_count=2621444 키바나에서 샘플 데이터 다운l
정의쿼리를 정의하기 위해 JSON을 기반으로 하는 전체 쿼리 DSL(Domain Specific Language)을 제공.RDMS에 정해진 where문 같은 아이들.score문서와 얼마나 관련있는가에 대한 점수는 \_score 를 통해 알 수 있다.점수계산은 query
코딩 진행 방식 : request 로 각 필드값을 받아옴 → es가 원하는 query문 형식으로 변환 → es로 request → es가 준 response 받기 → 원하는 형태로 response 가공후 제공조건 : blue, swashbucklers 가 모두 들어가있
회사에서 elastic를 사용하게 되면서, 나는 elastic에 쿼리를 던져야하는 일이 많아졌다. laravel 과 함께 쓰면서 처음에는 생쿼리로 짜서 elastic에 요청을 보냈으나, laravel-scout 라는 패키지를 알게 되면서 이것과 함께 laravel-sc
회사에서 elasticsearch 와 라라벨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laravel-scout 라는 패키지를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사용하기가 어렵긴하지만 없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하고 쓰고있는데, 최근에 nested type 를 검색단에 넣어야되어 너무 고민이
💬 ElasticSearch 를 패키지를 사용하면서 되니까 넘어가자 라는 생각으로 했는데, 쿼리를 수정해야할 일이 생겼다. 패키지를 사용하여 검색쿼리를 살펴보니 모든 필드를 terms로만 검색이 되고 있었다.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 terms 사용보다는 검색할때마다
elasticsearch 를 하면서, 특정 필드들만 추출해야하는 경우가 있었다. RDB에서 사용하던 select 같은 애가 필요했다. 찾아보니 fields 라는 옵션이 있었다. 오늘은 fields 쿼리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검색 응답에서 특정 필드를 검색하기 위한
회사에서 alias 처리된 필드에 대해 검색할 일이 생겼는데, 검색해보면서 나온 결과에 대해 공유해보려고 한다. 😐alias 한 필드명과 기존 필드명에 대해서 모두 검색이 가능하다.response로 나온 결과에는 alias한 필드명으로 나오지 않고, 기존 필드명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페이지네이션과 같다. 기본적으로 10개씩 조회된다.페이지 번호가 없고 next 버튼만으로 조절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무한 스크롤시 사용할 수 있다.유저가 특정시간동안 같은 버전의 인덱스를 볼 수 있게 한다. 쿼리에 맞는 많은 양의 문서를
간만에 쓰는 개발블로그! 쓸게 쌓여버렸다... 일단 엘라스틱서치 개념! 이건 예전부터 써야지 써야지 하다가 ... 이제야 쓴다 증맬루~ 😣 퇴사하신 분이 ES를 주로 다루셨어서 나는 깔짝깔짝만 봤었는데, 이제 퇴사하셔서.. 자세히 봐야된다... ㅠㅠ esrally라
ES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ㅎr... 성장하는 나의 모습! 아쟈아쟈!^^ ㅋㅋesrally라는 것을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는데, 테스트를 진행하는 순서에 대해 알아볼까 한다.공식문서: https://esrally.readthedocs.io/e
풘풘한~ 성능테스트의 세계로~ GOGO 🎢서버 갯수: 10대형태소: nori 형태소분석기 사용중테스트하는 인덱스: 1개인덱스의 샤드: shard 3 replica 2인덱스의 문서수: 19,257,330결과\*self.get_random_words = “가나다라마사
라라벨에서 mcrouter을 호출하여 저장하면 저장이 제대로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때문에 일주일을 애먹었는데 진짜 별거 아니였어서 너무 화났다..내자신 디버깅도 똑바로 못해... 😭라라벨에서는 캐시를 사용할 때 Cache 파사드 라는 것을 사용한다.이 파사드는
담다니담다니담다니담~ elasticsearch는 즐거워허... 🥴 프로젝트의 추가 기획을 위해 기존 ES에 데이터를 넣는 작업이 필요했다. 오히려...좋아..? 가보자고~ 🎢먼저 인덱스를 만들어줘야한다! 이것은 쉬움! REQUEST \-URL 성공시 RESPO
아 어제 당연히 keyword타입으로 ES에 데이터가 들어갈거라고 생각 못하고 한게 실수였다ㅠㅠ 어제 만든 타입들이 모두 text타입으로 들어가서 데이터들의 타입을 모두 바꿔줘야했댜... 찾아보니 보통 한번 넣은 데이터는 그것만 바꿀 수 없고 reindex을 통해 다시
이번에는 문서가 하나 잘 못 들어가있는 게 있어서 삭제가 필요했다. 🤦♀️ 고고싱...인덱스의 삭제와 마찬가지로 DELETE 메소드를 사용한다.REQUEST성공시 RESPONSEresult가 "deleted"로 표시된것을 볼 수 있다!SOO EASY! 🐸
이미 작성한 줄 알았던 쿼리문...msearch...다시 마주치게 되어서 보니 포스팅이 안되어있어서 작성시작! ✍️개념 🗯️ 여러번 요청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한번의 요청에 여러개의 요청을 담아 보내는 방법사용방법 👣URLBODY사용하면서 찾은 유의점 👩🚒{
elasticsearch query cache 세팅을 바꿔줘야한다고 해서 이것저것 찾아봤는데 움...이렇게 해도 되나 싶어서 일단 정리만 해봤다. 테스트 진행해보고 수정해줄 부분은 수정해줄 예정이다. 일단 query cache 를 바꿔서 테스트해봤으면 한다는 의견에 따
결론부터 말하면, "query" : { "bool" : {"filter" : {"must" : {}} } } 보다 "query" : { "bool" : {"filter" : {"bool" : {"must" : {} } } } } 이 성능이 좋다.우리회사에서 운영하는 서
결론부터 말하면, "query" : { "bool" : {"filter" : {"must" : {}} } } 보다 "query" : { "bool" : {"filter" : {"bool" : {"must" : {} } } } } 이 성능이 좋다.우리회사에서 운영하는 서
elasticsearch BMT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나는 서포트하는 역할로 바뀌었다. 서포트라고 하지만, 내가 결과보고 다시 분석해보고 물어보는... 여튼, 그러고 있다! 그 와중에 흥미로운 결과가 하나 있었는데, 바로 원하는 필드만 조회하게 되었을 때 elast
특정 쿼리들만을 가지고 ES검색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겨서, 찾아보다가 msearch 와 should 사용하면 원하는대로 나올 수 있을거란 결론이 나왔다. (그런데 msearch 여러 쿼리에 대한 결과가 각각 나오기 때문에, aggregation을 한 후에 sort나 l
기능 수정 요청으로 인해 기존 ES쿼리를 수정했어야했는데, 뭔가 이상한 점이 있었다. (그런데 결국 이 수정요청은 취소됐다^^...ㅎ)아래 쿼리로 요청을 보냈는데 이상하게 결과에 should 에 있는 조건이 하나도 적용이 안된 것이였다. 그래서 검색하다 보니, bool
한동안 시험공부에, 아마존 면접에 정신이 없었다.. ㅠㅠ 아마존 면접보고 진짜 내가 찐 바보구나 느낌… ㅎ 아마존 인터뷰 내용은 추후에 생각나는대로 올려볼까한다. 여튼, 본론으로 넘어가자면 회사에서 또 어떤 업무요청이 들어왔다. 그것이 뭐냐하면…예를들어 %꽃관% 라는
앞단에서 이제 찾았으니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한다. 알고보니 나..이전에 해본적이 있어..?ㅋㅋㅋㅋ이전에 사용했던 형태는 바로 아래와 같았다.이 경우에는 데이터의 고유값(RDBMS의 pk값이라 할 수 있다)인 \_id 를 사용해야했다. 그런데, 우리는 ES SQL 를 사
ES 세팅값을 조회해보다가 아무생각없이 지나갔던 "\_tier_preference": "data_content" 이 부분이 뭐지? 하고 의문이 들어서 찾아보게됐다.이를 설명하기 이전에 시계열데이터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이야기가 너무 길어지니 짧게 설명하자면, 일정한 시
esrally를 돌릴 때, 특정 쿼리문 돌리고나서 다음 쿼리문을 돌린 후의 성능을 보고싶은 경우가 있었다. 음 그런데 결론적으로는 esrally 자체는 한 쿼리당 하나의 결과만을 보여주고, 요청보낼때도 각 쿼리마다 성능이 달라지니 굳이 한꺼번에 테스트를 할 필요가 없다
BMT를 진행하기 위해 새로운 인덱스를 생성했는데, 팀장님께서 그 인덱스가 사용하는 노드들에는 어떤 게 있는지를 물어보셨다. 엄.. ㅎㅅㅎ.. 하고 있었는데 같은 팀원분이 딱 하고 보여주셨는데 한번 조회해봤던 API였떤 것이 아닌가..! 왜 기억을 못하는 것이여..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