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 Text Markup Language문서를 서로 연결해주는 하이퍼 텍스트로 자료의 구조를 표시해주는 마크업언어 입니다.
웹 화면에 내용을 표시해주는 태그 말 그대로 웹 화면에 텍스트, 목록, 표, 링크,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내용을 표시해주는 태그로
사용자 입력 값을 받는 태그 회원가입, 설문조사, 블로그 작성, 로그인 등 웹사이트에서는 정보 제공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입력양식을 제공하고, 입력 값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 입력값을 받게 해주는 다양한 태그와 해당 입력값을 받아 전송하는 태그에 대해 알
CSS란 Cascading Style Sheet로 html로 뼈대를 잡아준 문서에, style을 입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Cascading이란? 이름에 있는 Cascading`이란 의미는 폭포 처럼 쏟아지는 이란 뜻으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폭포처럼 일정한 우선순위
Selector CSS에서는 스타일을 적용해줄 html 요소를 선택해서 스타일 속성과 값을 작성해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 html 요소를 선택하는 걸 Selector, 선택자라고 하며 여러 형태의 선택자들이 있습니다. 기본 선택자 전체 선택자 : *
Block, Inline 요소 html태그는 인라인요소와 블럭요소로 구분됩니다. 구분 기준은 영역을 차지하는 방식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CSS에서는 글꼴 지정, 글자 크기, 글자 색상, 글자 정렬방법, 글자 굵기, 기울임 표시 등 텍스트를 꾸며줄 수 있는 여러가지 속성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nt-family : 글꼴 설정
html 태그 중 <ul>, <ol> 관련하여 CSS를 조정하는 속성들 입니다. <ul>태그의 경우 글머리 기호, <ol>의 경우 번호 표기에 대한 스타일을 지정해주는 속성 입니다. list-style-type: 키워드;로 표기 합니다.
공간 관련 CSS에서는 박스모델을 기준으로 요소의 공간에 안쪽여백을 주거나, 가로, 세로 높이를 조절하거나 다른 요소와의 간격조정을 위해 바깥 여백 등을 조절해 줄 수 있습니다. > 박스모델 관련해서는 [HTML/CSS] Block, Inline 요소와 CSS Box
동적 속성 CSS에서도 동적 스타일 속성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요소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키거나 특정 속성을 동적으로 조작하거나 애니메이션을 적용 시킬 수 있습니다. transform 요소의 형태나, 크기, 위치 등을 변형시키는 CSS 기능입니다. translate
반응형 웹 반응형 웹 이란? 웹 사이트를 다양한 디바이스 화면에 맞춰서 조절되도록 해주는 반응하는 웹사이를 구현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뷰포트(viewport) 각 디바이스 별로 실제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을 뷰포트라고 합니다. 이는 반응형 웹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 뷰
그리드 레이아웃 grid란 격자무늬, 바둑판 이란 뜻으로 웹페이지를 특정한 열로(column) 또는 규칙으로 나눠서 레이아웃을 배치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리드 레이아웃은 다음의 3가지 특성을 갖습니다. 시각적으로 안정된 디자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유지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