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ar Algebra - 2주차 1/2

Lisa·2020년 10월 24일
1

Linear Algebra

목록 보기
3/6
post-thumbnail

2주차에서는 벡터에 대한 각종 연산, 기저변환(change of basis), 선형독립(linear independence)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DISCLAIMER: 아래 내용은 오로지 Coursera 강의를 토대로 제가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부정확하거나 설명이 그닥 친절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벡터의 크기(size/length)

벡터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벡터 r=[ab]r = \begin{bmatrix} a \\ b \end{bmatrix}iijj라는 기저벡터(basis vector)를 이용하여 r=ai+bjr=ai+bj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기저벡터가 길이가 1인 단위벡터(unit vector)인 경우, 벡터의 크기는 우리에게 친숙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활용하여 r=a2+b2|r|=\sqrt{a^2+b^2}로 구할 수 있다.

여담으로 학부에서 공부했을 때는 삿갓 모양의 기호인 hat(^)을 머리 위에 쓴 벡터도 있고 없는 벡터도 있어서 혼란스러웠는데, 해당 강의에서는 hat을 쓴 벡터(e.g., i^\hat i, j^\hat j)는 단위길이(unit length)가 1인 단위벡터(unit vector)를 의미한다고 설명해줬다.


벡터의 내적(dot product)

벡터의 내적(dot product)을 구하려면 벡터에서 대응되는 각 성분끼리 곱한 다음 더해주면 된다.
r=ri+rjr=r_i+r_js=si+sjs=s_i+s_j라는 두 개의 벡터가 있을 때, rrss의 내적은 다음과 같다.

rs=risi+rjsjr \cdot s=r_i s_i+r_j s_j

r=[32]r = \begin{bmatrix} 3 \\ 2 \end{bmatrix}, s=[12]s = \begin{bmatrix} -1 \\ 2 \end{bmatrix}라고 했을 때 이 둘의 내적은 rs=3×(1)+2×2=1r \cdot s=3\times(-1)+2\times2=1이다.


벡터의 내적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적용된다.

  • 교환법칙(commutative law): rs=srr \cdot s=s \cdot r
  • 덧셈에 대한 분배법칙(distributive law): r(s+t)=rs+rtr \cdot (s+t)=r \cdot s+r \cdot t
    • 증명

      r=[r1rn]r= \begin{bmatrix} r_1 \\ \vdots \\ r_n\end{bmatrix}, s=[s1sn]s = \begin{bmatrix} s_1 \\ \vdots \\ s_n\end{bmatrix}, t=[t1tn]t= \begin{bmatrix} t_1 \\ \vdots \\ t_n\end{bmatrix}일 때,

      r(s+t)=r1(s1+t1)+r2(s2+t2)++rn1(sn1+tn1)+rn(sn+tn)=r1s1+r1t1+r2s2+r2t2++rn1sn1+rn1tn1+rnsn+rn+tn=rs+rt\begin{aligned} r \cdot (s+t) &= r_1(s_1+t_1)+ r_2(s_2+t_2) + \dots + r_{n-1}(s_{n-1}+t_{n-1}) + r_n(s_n+t_n) \\ &= r_1s_1+r_1t_1+r_2s_2+r_2t_2+\dots+r_{n-1}s_{n-1}+r_{n-1}t_{n-1}+r_ns_n+r_n+t_n \\ &= r \cdot s+r \cdot t\end{aligned}
  • 곱셈에 대한 결합법칙(associative law): r(as)=a(rs)r \cdot(as)=a(r \cdot s)
    • 증명

      r=[r1r2],s=[s1s2]r= \begin{bmatrix} r_1 \\ r_2\end{bmatrix}, s= \begin{bmatrix} s_1 \\ s_2\end{bmatrix}일 때,

      r(as)=r1(as1)+r1(as2)=a(r1s1+r2s2)=a(rs)\begin{aligned} r \cdot(as) &= r_1(as_1)+r_1(as_2) \\ &= a(r_1s_1+r_2s_2) \\ &= a(r \cdot s) \end{aligned}

동일한 벡터에 대한 내적은 해당 벡터 크기의 제곱과 값이 같다.

rr=r2r \cdot r = |r|^2

rr=r1r1+r2r2=r12+r22=(r12+r22)2=r2\begin{aligned} r \cdot r &= r_1r_1+r_2r_2 \\ &= r_1^2+r_2^2 \\ &= (\sqrt{r_1^2+r_2^2})^2 \\ &= |r|^2 \end{aligned}


벡터의 내적을 구하는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는 고등학교 때 배운 코사인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Cosine Rule: c2=a2+b22abcosθc^2=a^2+b^2-2ab\cos\theta

삼각형의 각 변 aa, bb, cc를 각각 ss, rr, rsr-s라는 벡터로 표현해서 코사인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rs2=r2+s22rscosθ|r-s|^2=|r|^2+|s|^2-2|r||s|\cos\theta

또한 위에서 알아본 것처럼 동일한 벡터에 대한 내적은 해당 벡터 크기의 제곱과 같다는 것과 벡터의 덧셈에 대한 분배법칙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도 표현할 수 있다.

(rs)(rs)=rrsrrr+ss=r22sr+s2\begin{aligned} (r-s)\cdot(r-s) &= r \cdot r - s \cdot r - r \cdot r + s \cdot s \\ &= |r|^2-2s \cdot r+|s|^2 \end{aligned}

rs2=(rs)(rs)|r-s|^2=(r-s)\cdot(r-s)이므로 양변을 소거하면 2rscosθ=2sr-2|r||s|\cos\theta=-2s \cdot r만 남는다.

rs=rscosθr \cdot s=|r||s|\cos\theta

이렇게 나온 공식을 활용하면 내적을 통해 두 벡터 사이에 있는 각(θ\theta)의 크기를 알 수 있다.

  • 두 벡터가 같은 방향이면(θ=0°\theta=0\degree): cosθ=1\cos\theta=1이므로 내적은 rs=rsr \cdot s=|r||s|
  • 두 벡터가 서로 직각(orthogonal)으로 만난다면(θ=90°\theta=90\degree): cosθ=0\cos\theta=0이므로 내적은 rs=0r \cdot s=0
  • 두 벡터가 서로 반대 방향이면(θ=180°\theta=180\degree): cosθ=1\cos\theta=-1이므로 내적은 rs=rsr \cdot s=-|r||s|


삼각함수 복습하기

삼각함수를 워낙 오랜만에 접해서 그런지 값이 바로바로 생각 안 나는 바람에 조금 애를 먹었다.

θ\theta0°0\degree30°30\degree45°45\degree60°60\degree90°90\degree
sin\sin0012\frac{1}{2}22\frac{\sqrt{2}}{2}32\frac{\sqrt{3}}{2}11
cos\cos1132\frac{\sqrt{3}}{2}22\frac{\sqrt{2}}{2}12\frac{1}{2}00
tan\tan0013\frac{1}{\sqrt{3}}113\sqrt{3}\infty

필요할 때 참고해서 보면 될 것 같다.


필기 첨부

profile
데이터 조아해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