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는 웹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스택에서 상태가 변경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이 이벤트는 주로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및 앞으로 가기 버튼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탐색하거나 JavaScript를 사용하여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조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popstate
다른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즉 aos에서만 되던 기능을 ios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텍스트A를 B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언어를 바꿔주는 것, 즉 리액트가 사용된 코드를 뷰로 바꿔주는 것
안드로이드 빌드하다가 ctrl+c, enter 뭘해도 나오던 문구... 사라지지 않아서 nbsp를 잘못 쓴 곳이 있나 찾아봐도 찾지 못하다가 zshrc를 통해 원인을 찾고 해결해서 기록해둔다 😇(사실 너무 별거 아니라서 어이없지만... ㅎㅎ )🚨 prompt_con
react-signature-canvas 라이브러리를 통해 유저의 서명을 받아야하는 화면을 개발하였다참고) 보안상 이유도 있다보니 코드는 축약하거나 단순화해서 기록하였다!https://www.npmjs.com/package/react-signature-canv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리액트 훅React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해당 컴포넌트 내부의 함수들도 새로 생성되는데 컴포넌트 구조가 복잡해지고 하위 컴포넌트들이 불필요하게 리렌더링될 때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특히 함수형 컴포넌트 내부에서 정의된 함수들은
요청받은 버그를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빌드를 해서 dev에서 수정하고 STG에서 확인해서 최종 완료 처리를 해야했다. 😅 aos 개발 경험이 별로 없어 걱정 되는 마음으로 빌드를 진행했다. env파일의 이름은 다를 수 있으나 난 로컬에서 확인할 때는 .env.de
로그인 여부 확인 isAuthenticatedemotion code에 따라 좋아요 여부 등록emotion code : 400101 (좋아요), 400102 (싫어요)myEmotionCd.code가 400101일 경우 좋아요 삭제myEmotionCd.code가 4001
(리뷰작성 시 총점을 표시를 5개의 별로 표시할 경우 )왼쪽인 i <= index는 i가 index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평가하는 조건starStates 배열의 인덱스가 index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대해 true를 할당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
\-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리액트 훅React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해당 컴포넌트 내부의 함수들도 새로 생성되는데 컴포넌트 구조가 복잡해지고 하위 컴포넌트들이 불필요하게 리렌더링될 때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특히 함수형 컴포넌트 내부에서 정의된 함수
https://www.npmjs.com/package/cheeriocheerio는 HTML에서 document.querySelector()처럼 HTML 요소를 골라낼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
drag와 onClick 기능이 함께 있을 경우 drag를 하나의 스테이트에 따로 관리하여 제어하였다
버튼 disable처리된 상태일 때 클릭 이벤트 버그가 있어 수정했다.버튼이 항상 bottom:0으로 하단에 있다보니 버튼이 diabled되어있는 상태에서 스크롤을 내리다가 클릭이벤트가 있는 요소와 겹칠 경우 겹쳐있는 아래 요소의 클릭이벤트가 진행되는 문제였다. dis
g : 발생할 모든 pattern에 대한 전역 검색i : 대/소문자 구분 안함숫자와 영문만 작성하도록 만들기 위해 '/^0-9a-zA-Z/gi'정규식을 사용했다.사용을 위해 검색 중 g만 사용한 곳도 있고, i도 함께 사용한 곳이 있어서 찾아봤더니 대소문자 차이였다.
개발 중 기존 쿠폰 등록하는 부분의 UI 수정과 함께 플로우도 수정되며 새로 작성한 코드가 있어 기록해두고자한다 기존엔 쿠폰함에 가면 바로 쿠폰번호를 등록했다면 수정 후 플로우 : 버튼 선택 -> 쿠폰등록 dialog 오픈 -> 번호 작성 및 확인 -> 등록, 에러처
navigate로 url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때 state에 원하는 데이터를 담아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아래 코드처럼 이동 시 orderNo와 clickStatus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 1번의 방법으로 화면에 데이터를 가져온 뒤 페이지가 다시
프론트엔드의 경우 svg, png, jpeg 등 다양한 형식의 이미지, 아이콘들을 사용할 일들이 있다. 특히 내가 그렇다 ㅎㅎ css는 속이 시원할만큼 잘 될 때도 있고,말이 안될만큼 움직이지 않을 때도 있다. 이번에 footer의 아이콘들을 바꾸는 간단한 작업이였지만
보통 앱의 메인페이지엔 2-3개의 이미지가 슬라이드되며 노출된다.오늘은 그 기능을 구현했다.직접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컨트롤하는 버전은 아니고 기본적으로 캐러쉘 자체에 탑재되어있는 기능이 많으니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보안의 문제로 여러개 옵션은 작성하지 않았지만 대략
트위터 공유하기 구현 성공 하고나면 별거아니였지만 찾아 헤맸던 결정적인 oprion은 'card'속성이다리액트로 sns 공유하기 기능을 구현하다보니 서버사이드렌더 관련된 문제로인하여 mata의 data를 토대로 공유하기 컨텐츠를 만드는 현재의 개발 방식엔 문제가 생겼
터무니없는 실수이기에 더 기억하고 다시는 실수하지 말자!라는 마음으로 기록!! 댓글 신고하기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였다 댓글의 우측 삳단 더보기 버튼을 선택Drawer 오픈내가 작성자일 경우 댓글 수정 / 삭제하기 버튼을 노출 + 내가 작성자가 아닐 경우 댓글달기
실제로 회사에서 개바을 핟보니 주석을 사용할 일이 점점 더 다양해졌다.동료를 통해 꿀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익스텐션을 추천받아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꽤나 만족스럽다 ㅎㅎ vscode 익스텐션 최고!! 아래 보여지는 Better Commnets 익스텐션을 설치 (vsc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