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하지않은 리눅스 환경과 다른 프로그램들이지만 새로받은 노트북의 성능에 설레기도 하다.정식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전에 러프하게 첫 달의 목표를 정해봤다.PYTHON과 PYSPARK 자습 이전에 윈도우에서 pyspark를 설치하면서 고생을 했었던적이 있다. 리눅스 환경을
일정표들. 인공지능 개발자가 되기 위한 위대한 첫 걸음. 리눅스 환경, 간단한 terminal 사용법, 가상환경 정리에 대한 공부 기본적인 terminal 언어도 몰라 고생하던 때가 있었는데 이 기회를 통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좋았다. Deep Learni
일정표 ^.가-힣.$ 하나라도 한글이 들어간 것 찾기 \[^가나다] "가나다"가 한글자라도 포함되지 않은 단어\[^안녕]하십니까 앞에 "안녕"이 한 글자라도 포함되지 않은 단어, 단 "하십니까"는 매칭ㄴ\\b가나다\\b 가나다 앞뒤에 다른 문자가 붙지 않은
솔직히 어려웠다. 윈도우에서 탐색기를 이리 저리 이동하면서 파일 옮기면 불편했던게 터미널 창으로 다 된다는게 편리하긴했는데 익숙치않은 명령어가 너무 많았다. 그래도 인상깊었던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참고할 만한 글 링크]webdir님 티스토리 리눅스 카테고리강의 링크공부
처음 잘 이해가 았갔던 class나 상속, 오버라이드에 대해서 정리해서 공부 할 수 있었던게 만족스러웠다. 아직도 아래같은 파이썬 documnetation을 읽으면 생소한 개념이 너무 많아서 잘 이해가 안된다. 더 읽어보고 공부해야할 것 같습니다. 파이썬 3버전 fu
F-13 파이썬 잘하는 척 해보자 파이썬에 대한 개념을 익힐 수 있었던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Try-Except는 많이 혼동이 왔었는데 거기에 대해 잘 정리할 수 있었던것같습니다. 딥러닝 for 컴퓨터비전 역전파법 강의주소 제가 정리한 pdf 필기 놀라웠던 점 복
멀티태스킹, 병렬프로그래밍과 동시성단순하게 병렬프로그래밍에 대한 강의링크지금까지 공부했던 classifier들은 spatial structure에 대해 고려를 하지 못했다.드디어 spation structure에 대한 고려를 시작한 모델이 CNN이다.키워드convolu
이번주는 어려웠다. 이번엔 내 스스로 모델 구조를 감오는 대로 짜봤는데 학습이 되긴해도 fake accuracy가 너무 높게 나왔다. 즉 generator가 제대로 만들질못하고있다는 것인데 모델링을 짜라는 조언들을 봐도 참고를 해봐도 감이 잘 안왔다. 무작정 epoch
이번주는 제가 진행하던 "가볍게 시작하는 통계학습 스터디"의 파수꾼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면서제가 느꼇던 점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DeepML에서는 제대로 배우지 못했던, 딥러닝의 기반이 되통계학적 방법론이나 모델에 대해서교재를 통독하면서 공부하는 스터디입니다.
너무너무 바쁘고 할게 많다...배워야할 개념도 해야할 노드도 많은데 시간은 턱없이 부족하고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데도 너무 시간이 오래걸린다.그와중에 짬짬히 공부하는데도 시간을 너무 많이 먹는다.그래서 이번주는 책추천으로 넘어가고자 한다.추천할 책은엔지니어를 위한 선형
약 절반쯤 지나왔으면서 지금까지 한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목표를 결정하려고 한다.매주 수요일 수업. 순번을 정해서 발표하고 있으며 코드 내용을 따라치거나 추가적으로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기도합니다.자료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는 책. 기초부터 가르치는 책이라 평이하지만 가
Atattion 정리동영상 링크인공지능대전 엑스포(코엑스)출처참가해서 여러 기업들을 살펴보았음. 주로 super resolution에 관련한 기업들api, gpu(의 진화한 다른 변종들)을 광고하러 나온 가져온 어떤것을 고를 것인가..계속 학습할 수 있는 ai의 특성을
해커톤 2차로3차해커톤에서 사용할 서비스 개발계획서를 작성했다.어렵다. 진짜 어렵다. 데이터 분석, 분석에서 얻은 인사이트 활용, 간단한 서비스 정도만 만들어보았던 나이기에.즉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본 경험이 없다 보니 정확히 뭘 써야할지 헤맸다. 관
해커톤과 병행한다고 바빠져서 제대로 쓰지못해서 지금이나마 짧게 써본다.나는 고잉디퍼 단계에서 자연어를 선택했다.자연어랑 컴퓨터 비전의 사이에서 고민이 많았다. 그래도 자연어를 선택했다. 해커톤을 진행하면서도 자연어 처리와 관련된 기법을 했는데 거기에 대해서도 써보고 싶
문제발생 -> remedy 처리 -> 재발생 -> 새 remedy가 매우 중요하다.
Aiffel 강남 과정에서 글쓰기 풀잎 시간에 2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있었던 강연을 정리하고 후기를 적은 것 입니다. 블로그의 컨셉을 확실하게 해라. 한 글에는 많은 내용 X, 길어지면 다음 포스팅으로 번역어와 필체에 고민을 해라 (프로답게 써라)\-> 항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