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를 공부하자

1.N+1은 왜 발생할까?

post-thumbnail

2.연관관계 Collection은 SET이 좋을까 List가 좋을까?

post-thumbnail

3.공간 인덱스란?

post-thumbnail

4.DB commit과 flush는 다르다.

post-thumbnail

5.TCP/IP란

post-thumbnail

6.프로세스 VS 스레드

post-thumbnail

7.CS 스터디 -네트워크 1편

post-thumbnail

8.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 인프라 위주

post-thumbnail

9.HTTPS의 원리를 공부해보자

post-thumbnail

10.HTTPS는 HTTP보다 느릴까?

post-thumbnail

11.서브넷과 CIDR이란?

post-thumbnail

12.JWT 토큰과 CSRF 공격

post-thumbnail

13.CS 스터디 -네트워크 2편

post-thumbnail

14.JWT란 무엇일까?

post-thumbnail

15.JWT를 꼭 사용해야할까?

post-thumbnail

16.스프링 시큐리티가 꼭 필요할까?

post-thumbnail

17.소켓에 대해 알아보자

post-thumbnail

18.Spring Batch에 대한 정리

post-thumbnail

19.스프링 예외처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thumbnail

20.예외처리 Best Practice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thumbnail

21.REST한 API란 무엇일까? SOAP 프로토콜과 비교해보자

post-thumbnail

22.메모리에 대해 알아보자(스프링은 메모리를 어떻게 최적화할까?)

post-thumbnail

23.DB Rollback이 DB 성능에 영향을줄까?

post-thumbnail

24.MVCC(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란?

post-thumbnail

25.트랜잭션이 길어지는 게 성능에 영향을 줄까?

post-thumbnail

26.AWS Certificate Manager vs Let's Encrypt

post-thumbnail

27.HTTPS+NGINX 흐름에 대해 정리해보자

post-thumbnail

28.리버스 프록시란?

post-thumbnail

29.Apach와 Nginx를 비교해보자

post-thumbnail

30.커넥션 풀 사이즈는 클수록 좋을까?

post-thumbnail

31.JWT 토큰을 URL에 넣어도 될까?

post-thumbnail

32.CORS란 무엇일까?

post-thumbnail

33.@Mock 테스트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post-thumbnail

34.해시충돌이란?

post-thumbnail

35.HTTP/1.1-> HTTP/2.0 -> HTTP/3.0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thumbnail

36.grpc는 HTTP/2의 비효율성을 어떻게 해결할까?

post-thumbnail

37.디스크 접근시간에 대해 알아보자

post-thumbnail

38.동기/비동기, 블로킹/논블로킹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thumbnail

39.트랜잭션은 error에서도 롤백이 될까?

post-thumbnail

40.회원탈퇴는 Put일까 Delete일까?

post-thumbnail

41.기본키 없이 테이블을 설계해도 될까?

post-thumbnail

42.기본키를 업데이트해도 괜찮을까?

post-thumbnail

43.SQL과 NOSQL의 차이는? (+왜 SQL은 수평적 확장이 어려울까?)

post-thumbnail

44.웹소켓과 HTTP의 차이를 정리해보자

post-thumbnail

45.실시간 채팅을 반드시 웹소켓으로 만들어야할까?(SSE와의 차이는?)

post-thumbnail

46.트랜잭션의 일관성과 지속성은 무슨 차이일까?

post-thumbnail

47.tcp 3way handshake에서 시퀀스 넘버는 왜 랜덤값으로 만들어질까?

post-thumbnail

48.UDP의 신뢰성을 보완할 방법이 없을까?

post-thumbnail

49.세션방식은 Stateless와 상충할까?

post-thumbnail

50.401 (Unauthorized) 와 403 (Forbidden)은 의미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

post-thumbnail

51.Get메서드에서 바디를 쓰는 건 좋지 않은 아이디어(bad idea)이다.

post-thumbnail

52.HTTPS에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post-thumbnail

53.MySQL에서 기본키 없이 테이블 생성이 가능한 이유는 뭘까?

post-thumbnail

54.SSL과 TLS의 차이는?

post-thumbnail

55.소켓마다 포트번호가 모두 다를까?

post-thumbnail

56.모든 요청마다 새로운 소켓이 생성될까?

post-thumbnail

57.HOL Blocking란 무엇일까?

post-thumbnail

58.HTTP/3.0에 대해 추가로 정리해보자

post-thumbnail

59.TCP 혼잡제어란?

post-thumbnail

60.DHCP란? 왜 사용하는걸까?

post-thumbnail

61.IPv4 고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post-thumbnail

62.IPv4와 IPv6는 서로 통신할 수 있을까?

post-thumbnail

63.외래키는 null일수 있을까?

post-thumbnail

64.유니크 칼럼은 성능에 영향을 줄까?

post-thumbnail

65.NoSQL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thumbnail

66.NoSQL은 RDB보다 빠를까? 그렇다면 왜 그런걸까?

post-thumbnail

67.DB는 어떻게 지속성(Durability)를 제공할까?

post-thumbnail

68.읽기 작업에도 트랜잭션이 필요할까?

post-thumbnail

69.언제 역정규화를 해야할까?

post-thumbnail

70.인덱스키가 자주 변경되면, 인덱스를 설정하는 게 좋을까?

post-thumbnail

71.ArrayList를 사용해도 괜찮을까?

post-thumbnail

72.시간복잡도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post-thumbnail

73.정렬 알고리즘별 시간 복잡도는?

post-thumbnail

74.VPC 개념을 잡아보자

post-thumbn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