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8코딩 생초보 3일차 드디어 그 유명한 반복문을 접하게 된다.반복문은 '초기화, 조건식, 증감문'으로 구성되어있다. 쉽게 구조를 살피면 이렇다.for(초기화; 조건식; 증감문) -> "(초기화)부터 (조건식)까지 (증감문)에 맞게 반복해"처음 접하는 사람
10.29 드디어 웹페이지를 다뤄보다!...자바스크립트 공부를 시작한지 이제 4일째가 되면서(1,2일째는 블로그는 못 썼....)드디어 웹페이지를 다뤄보았다.. (내가 만든 코드들이 웹페이지에 나오는 그 감격...)사실 자바스크립트를 다루면서 로직공부를 하다보니 HTM
20.11.1 자바스크립트로 계산기 알고리즘을 만들어 보았다.사실 계산이 알고리즘을 배운것은 금요일이었는데 이해가 안되어 몇번이나 다시 해보고 혼자서 완성한 것은 오늘이다.계산기를 만들어보며 이해된 것.첫번째, 컴퓨터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코드를 읽어가며 명령에 따라 실
20.11.5 오늘은 CSS Selector에 대해 공부했다.JS에서 각 함수를 선언할때 CSS는 각 요소를 선택한다.처음 HTML을 보았을 때 CSS의 선택자들이 무슨 역할을 할지 궁금했는데비로소 알게되었다!오늘의 TIL은 내가 까먹지 않게 CSS Selector들을
유효성 검사는 정말 어려웠다... ㅠ 머릿 속에 폭풍우가 휘몰아 치고 있다 ㅋㅋ; 이제 조금 배열과 객체에 대해 친해졌다 생각하는데 이번주의 내용들은 말 그대로 머리에 쥐나게 만드는 것들... ㅠ 특히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는데 간단한 회원가입 폼을 만드
여태까지 코딩과의 거리가 먼 삶을 살아온 나는 부모님의 어린이집에서 행정업무를 맡으며 애기들하고 재미있는 일상을 지내고 있었다. 워낙 이것저것 해보는 것을 좋아하는 타입이라 어린이집의 어플을 한번 만들어볼까 생각하게 되었고,개발자와 디자이너를 찾아서 어플 개발을 의뢰하
node.js 및 nvm, npm, package.json테스트를 npm을 통해 실행Git workflow를 통해 Pair와 협업pair의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로 등록하고, 작업 현황을 공유최신 JavaScript 버전을 적극적으로 사용
컴퓨터 공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데이터 자료 구조는 어떠한 프로그램을 구현하거나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로직을 만들어야할 때 중요하다.그 중 오늘은 Stack 과 Queue를 알아보겠다.Stack은 자료를 블록 쌓듯이 추가하는 형태의 자료구조이다.자료를 추
Linked List는 아래에 있는 이미지처럼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다.리스트의 맨 앞 부분을 head 맨 뒤에 있는 부분을 tail이라고 하며 다음(next)노드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Linked List는 실생활 많은 곳에서 사용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웹
20.12.9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배우다!많은 기업들의 채용공고란을 보면 우대사항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가능자라는 내용을 많이 보게 된다. 이것을 다시 생각해보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기업의 이윤성(효율성)을 높이는 프로그래밍이고, 기업들을 그것을 지향한다.
20.11.3 자바스크립트는 Primitive 와 Reference라는 데이터 타입이 있으며 데이터 보관 차이에 따라 타입이 나뉜다. Primitive type(원시 타입 데이터) 원시 타입 데이터는 모두 하나의 정보만 가지고 있고, 객체가 아니면서 메소드를 가지지
20.12.9 JavaScript에서 Object를 생성하는 여러가지 방법 OOP를 배우면서 알게된 것 중 하나는 내가 아직 객체를 마음대로 가지고 놀지 못한다는 것이다. (ㅠㅠ....제길!) 그 중 하나는 객체를 생성하는 것인데. 첫 단추를 잘 채워야 하기 때문에
20.12.9 Prototype이 뭘까? JavaScript에 대한 공식문서를 찾다보면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라는 말이 자주 보인다. 드디어 때가 왔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잘 하기 위해서 & 자바스크립트의 높은 이해를 위해서는 이 녀석과 꼭 친해져야한다.
20.12.14 (Algorithms)rockPaperScissors2차원 배열(arri)을 리턴해야 합니다.arri는 전체 경우의 수 중 한 가지 경우(총 세 번의 선택)를 의미하는 배열입니다.arri는 'rock', 'paper', 'scissors' 중 한 가지
20.12.15 (Algorithms)fibonacci아래와 같이 정의된 피보나치 수열 중 n번째 항의 수를 리턴해야 합니다.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입니다. 그 다음 2번째 피보나치 수부터는 바로 직전의 두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정의합니다
20.12.17 isSubsetOf_algorithms두 개의 배열(base, sample)을 입력받아 sample이 base의 부분집합인지 여부를 리턴해야 합니다.인자 1 : base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임의의 배열 (base.length <= 100
20.12.19 bubbleSort_Algorithms정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입력받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리턴해야 합니다.입력인자 : arr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배열arri는 정수arri의 길이는 1,000 이하출력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배열
20.12.22 Asynchronous&PromiseAsynchronous&Promise파트는 비동기&동기에 관한 개념과 그것을 구현하는 것을 배웠다.출처: PoiemaWeb위의 그림은 동기&비동기를 쉽게 구분하기위해 커피숍에서 주문을 하는 상황을 그린 것이다. 동기는
Redux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관리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다.React에서 상태관리는 최상위 컴포넌트에서만 자식에게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그래서 최하위 자식이 옆 자식에게 상태를 전달하려면 거쳐야할 컴포넌트들이 많아진다.이러한 불편함을 없애
프로젝트가 끝났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4주간의 여정이 끝이 났다. 사실 공식적으로는 그렇지만 나에겐 3개월 간의 여정이었다 ㅋ 이 Final 프로젝트를 맞이하기 위해 정규코스 중간부터 함께할 팀원들을 미리 만나뵙고 12월 5일부터 회의를 시작했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스타트업의 신입이라면 꼭 알아야 할 용어모음
Shard라는 개념은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던 개념이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여러개로 나누어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or 블록들의 구간)를 Shard(샤드)라고 한다. 이 개념이 생긴 이유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하나만 운영하게 된다면 리스크를 온전히 감당해야 하
저번 포스팅에서 Sharding에 대해 알아보면서 블록체인의 트릴레마 중 확장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Sharding을 사용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는 무엇일까?블록체인에는 여러 종류의 암호화폐가 있으며 각 암호화폐들은 각기 다른 합의 알고리즘을 채
(공부해서 남주자) 나같은 사람이 없기를 바라며...포트폴리오로 열어놓았던 AWS 서비스들이 요금이 지속해서 청구되어 부랴부랴 공부겸 알아보기로 한다.AWS에 로그인하면 우측 상단에 자신의 계정메뉴 - 결제 대시보드를 누른다.그러면 얼마가 청구되는지 보여주면서 현재 과
크립토 좀비는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인 솔리디티(Solidity)를 게임으로 배울 수 있게 만든 잘 만들어진 튜토리얼이다.크립토 좀비의 Lesson 1은 "좀비 공장 만들기"로 계약지향 언어인 솔리디티를 사용해 좀비를 만드는 과정을 학습한다.이번 챕터에서는 16
(지난 블로깅) \[크립토 좀비로 공부하는 솔리디티 이번 챕터에서는 솔리디티의 상태 변수와 정수를 배우기위한 내용이다.정수는 부호 없는 정수(uint)와 부호 있는 정수(int)로 나뉜다. 솔리디티에서는 세 가지의 변수타입이 존재한다.상태 변수(State Varia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