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CSS 속성이 리렌더링을 유발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작 중요한 건 그것들이 "렌더링 후에 동적으로 바뀔 때" 성능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었다.

Next.js의 앱 라우터는 페이지 라우터와 어떤 차이점을 갖고 있고, 서버 컴포넌트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JWT를 활용한 인증 구현 과정에서 토큰 관리 이슈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공유합니다. 액세스 토큰의 새로고침 문제, 로컬 스토리지 vs. 메모리 저장, 그리고 XSS/CSRF 공격 대응 전략에 대한 고민을 담았습니다.

어느덧 마지막 과제.이번 챕터는 저번 과제와 동일하게 성능 최적화지만 9주차에는 인프라 수준의 최적화였다면, 이번에는 코드 수준의 최적화다.

어느덧 항해의 마지막 챕터가 시작됐다. 빠르다면 빠르고 느리다면 느리게 지나온 것 같다. 빠르다면 빠르고 느리다면 느린 건 그래서 빠른 걸까 느린 걸까? 최적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프라 수준의 최적화와 코드 수준의 최적화다. 이번 챕터에서는 인프라

과제를 제출하지 못했다.정확히 얘기하면 과제를 했는데 PR 링크를 제출하는 걸 까먹었다.2주동안 테스트 코드 챕터를 겪으면서 내 힘으로 했다기 민망할 정도로 AI에 많은 의존을 했는데, 양심 좀 챙기라는 신호인가?!

7주차에는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에 대한 과제를 했습니다. 과제를 하면서 느낀 점을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