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수많은 웹사이트를 방문한다.검색을 하고, 버튼을 누르고, 상품을 둘러보고, 어떤 페이지는 1초 만에 나가기도 한다이 모든 사용자의 행동 흐름을 기록한 데이터,그것이 바로 클릭스트림(Clickstream) 이다.clickstream이란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클
클릭랩(KlickLab)은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고성능 웹 애널리틱스 플랫폼이다.클릭랩은 웹사이트 방문자의 클릭스트림(Clickstream)을빠르고 정확하게 기록하고 분석하여,기업이 사용자 행동에 기반한 데이터 중심의 의
MVP부터 본격적인 트래픽 대응까지,클릭랩은 단계별로 인프라 아키텍처를 개선해왔다.MVP에서는 단일 EC2 인스턴스에 프론트와 백엔드를 구성하고,Dummy Customer의 Front에서 SDK를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시작했다.클릭 이벤트는 KlickLab
KlickLab의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고객의 모든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는 대규모 트래픽을 지연 없이 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시스템이 과연 피크 타임의 부하를 견딜 수 있는지,병목 지점은 어디인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실제와 같은 트래픽을 시뮬
Phase 2 아키텍처는 <span style="color:NLB를 통한 수평 확장, MSK를 이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안정화, ClickHouse의 읽기/쓰기 분리까지그러나 이론 설계와 실제 운영 사이에는 언제나 예상치 못한 변수가 존재했다.목표치를 달성하는 과
고성능 인프라를 구축하고 네트워크 최적화 인스턴스(c6in.xlarge)까지 도입했다.이제 모든 병목이 해결됐을거라 생각했다.<span style="color:부하 테스트를 시작하면 처음 30초 정도는 깔끔했다.RPS(초당 요청 수)가 5,000 이상을 안정적으로
해결법 2: 인스턴스 스케일 아웃 전략 변경 힙 메모리 확장이 RPS 최고치를 높여주긴 했지만 주기적인 멈춤 현상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해결책을 생각해내야 했다. 만약 GC가 유일한 원인이었다면 메모리를 2배 이상 늘렸을 때 '멈춤' 현상이 발생하는
도메인을 직접 구입했으니이제는 “집 주소만 있고 초인종도 없는” 상태에서 벗어나야 했다.조금 전 한 일은 세 가지다.klicklab.co.kr을 EC2 퍼블릭 IP에 매핑하는 도메인 연결무료 SSL(Let’s Encrypt)로 <span style="color:-
수많은 클릭이 얇은 선이 되어 정사각형 안을 질주합니다. 모든 궤적은 대각선 끝에서 하나로 수렴하며 ‘K’의 실루엣을 완성하고, 그 초점이 곧 KlickLab이 됩니다. > >데이터의 흐름이 정확히 우리에게 닿는 순간 복잡함은 정밀한 통찰로 바뀝니다. 와원래 사양(m5.large)을 <span style="color:이번 글은 그 실험 기록이다.우리는 <span style="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