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러셀 등 화면의 요소가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때 translateX와 left는 같은 결과물을 보여준다. 하지만, left보다는 translateX를 사용함이 더욱 적합하다. 어째서 일까? 🤔 그 이유를 알기 위해 우선 브라우저 렌더링을 알아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학습하고 Docker와 My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연결하여 SQL문법을 이용한 Table을 만들어 보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야기를 바탕으로 객체지향을 이해해보자. 2장에서 객체의 특성을 알 수 있으며, 우리가 설계하고자 하는 객체지향 세계를 이해 할 수 있다.
앞서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시 화면에 보이는 과정 중 서버로 부터 리소스를 받으면 받은 리소스가 렌더링되어 화면에 보여짐을 학습했다. 이번에는 서버로 리소스를 요청하고 응답 받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학습하고 실습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