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pense를 도입하는 과정과 이때 발생한 Waterfall 현상을 해결해본 과정에 대해서 작성해보았습니다.
Next.js SSR 환경에서 Emotion 기반의 다크모드를 적용했을때 발생하는 깜빡임 현상을 해결해 보자!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다른 상속 기반의 언어와 달리, prototype(원형) 기반의 언어로, 모든 객체는 특정 객체를 원형(prototype)으로 삼고 이를 복제(참조)하는 방식을 통해 상속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게 한다.프로토타입을 추상화 하면 위와 같은 그림이 나오는
ISR과 On-demand revlidation을 이용하면 정적생성으로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프론트엔드의 대표적인 렌더링 방식인 CSR(Client Side Renering)과 SSR(Server Side Rendering)에 특징과 어떤 시기에 사용해야 가장 좋은지에 알아보겠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타입스크립트 기반의 NextJS 프로젝트에서 설정된 ESLint와 Prettier를 Websotrm 에디터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서 NextJS + Typescript + Emotion 기반 템플릿을 만들면서 이에 대한 설명을 다룬 내용들을 공유하기 위해 이 포스트를 올립니다.
Lexical Environment Record와 Outer Environment Reference에 대해 이해하고 호이스팅과 스코프에 대해서도 이해한다.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ToastUI Viewer를 적용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Viewer란 Editor에서 만든 게시글의 내용을 보여주는 도구이다. Editor에서 소개한 방법과 비슷하게 dynamic import를 이용해서 적용하면 된다! 간단하지만 공식문서만 보았을
NextJS와 React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게시글을 작성하고 읽는 기능이 필요해졌다. 이를 위해 찾아본 결과 ToastUI에서 제공하는 Editor가 있어서 사용해보았다. 그런데 공식문서대로 적용해보았으나 오류(~ is not defined)가 발생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