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오브젝트 주위를 회전 시키기Transform.RotateAround(Vector3 point, Vector3 axis, float angle)스스로 빙글~빙글~ 돌기
유니티에서 특정 장소에서 멀어질 수록 소리가 작아지고 가까워질수록 소리가 커지게 만들고 싶을 때spatial sound는 Audio Source 컴포넌트를 추가하면 볼 수 있는 옵션이다. 소리가 날 게임 오브젝트에 Audio Source 컴포넌트를 추가한다.해당 컴포넌
1. 이미지를 unity로 불러오기 원하는 이미지를 드래그 해서 프로젝트에 추가합니다. 2. Material 생성 Material을 하나 생성하고 Albedo값에 1에서 가져온 이미지를 드래그 해준다. 그 후 shader에서 Sprites/Default 로 바꿔
Unity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올려서 관리할 때 필요없는 파일들까지 올리지 않기 위해서 gitignore을 설정해주는 것은 필수이다. gitignore의 설정법과 위치에 대해
Unity에 새로운 input system이 추가되면서 구버전인 input manager랑 둘 중에 선택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중간에 프로젝트를 바꾸는 경우나 두 버전을 모두 사용하고 싶을 때도 설정이 가능하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Edit > Project Settin
Unity와 Visual Studio 연결하기 Unity에서 외부 IDE를 사용할 때 자동완성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해주면 해결된다. 1. Edit > Preference 2. External Tools > External Sc
원래 유니티 허브에서 손쉽게 플랫폼을 추가할 수 있다. Unity Hub > installs > 원하는 버전의 설정 > add module하지만 처음 버전을 설치할 때 hub 에서 설치를 한 것이 아니라 홈페이지에서 exe파일을 통해 설치를 했다면 이 add modul
meta 계정을 만든 후 해당 계정을 개발자 계정으로 등록한다.핸드폰에서 다운로드meta 계정 로그인오큘러스 연결 후 개발자 모드 켜기https://www.meta.com/kr/ko/quest/setup/https://developer.oculus.c
DOTween 은 무엇이며 어디에 사용하는지, 그리고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공격이나 여러 스킬을 사용하는 게임을 제작하다 보면 쿨타임을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여러 모바일 게임에서 이런 쿨타임 시간만큼 돌아가는 버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오늘은 이런 버튼을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어 보려고 한다.쿨타임이 있는 공격 버튼을 만드려고 한다.Can
DOTween으로 간단하게 움직이는 발판을 만들어보자.
DOTween에서는 대부분 duration time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보다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편한 경우들이 있다. 오늘을 이런 상황에서 쓸 수 있는 구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상하게 Unity를 하다보면 내가 건드리지도 않았음에도 이상한 부분이 바뀌어서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다. 내 컴퓨터 속에 암흑의 세력이 있는게 분명하다..Particle Effect에서 사용하는 Material이 갑자기 magenta로 변했다.. 원래 보통 URP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