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액트 파이버와 가상 DOM

useEffect의 내부 동작 원리

리액트 베일 아웃(bail out) 톺아보기 🔎

Error Boundary 톺아보기 🔎

Suspense 톺아보기 🔎

useRef의 내부 동작 원리

forwardRef가 필요한 이유와 내부 동작 원리

useSyncExternalStore가 필요한 이유와 내부 동작 원리

React ContextAPI가 동작하는 방식

React에서 Hydration이 동작하는 방식

SSR에서 HTML을 직렬화 할 때 Suspense라는 HTML 태그는 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처리할까?, Suspense는 Hydration 과정에서 어떻게 동작할까?

Progressive Hydration이 동작하는 방식, React는 어떤 이벤트의 우선순위가 더 빠르다고 판단할까?

React에서 무시되는 값들이 처리되는 방식과 무시되는 값들 활용하기

서버 컴포넌트 생성되는 과정(서버)

서버 컴포넌트가 생성되는 과정(2 - 클라이언트)

use Hook이 thenable 객체와 Context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React lazy가 동작하는 과정(+ 어떻게 Suspense와 Error Boundary에 트리거될 수 있는지)

useTransition의 내부 동작 원리

useState의 내부 동작 원리와 리렌더링 매커니즘 이해하기

React에서 Hook 객체를 관리하는 방법과 조건부 훅 호출이 제한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