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연수원 이러닝 연수 [ICT 지식 큐브]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학습 목표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네트워크 종류를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의 정보교환방식을 이해하고 관련 기술을 설명할 수 있
=> 아날로그 : 라디오 같은데 많이씀=> 디지털 : 와이파이 등 무선 통신맨 위가 오리지널 신호두번째가 반송세번째가 오리지널 신호와 반송이 합쳐진 것.정보를 전달하는 변조 방식 : 아날-> 디지털(아날로그 펄스)=> 아날로그 신호에서 특정 주기로 샘플링해 실수 타입의
=>진폭, 위상 이 두가지를 섞어서 신호를 변조=> PSK와 비교 했을때 확실히 QAM이 성상도를 보면 간격이 넓다. 이것을 효율이 좋다라고 표현을 함.
OSI 7 Layer 란 개방형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진행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네트워크 장비 간 상호호환성 제공을 위한 참조모델=> 표준이 일단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네=> 전송까지가 상위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주소 체계를 가지고 상대방과 통신=
=> 보통 데이터 링크 계층만 Trailer 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계층들은 Header 정보만 추가해서 처리.=> SDU, PCI를 합쳐서 PDU라고 부름.=> PDU로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들이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 단위를 사용. 프레임 체크 시
=> Codeword 통신상의 변조된 코드 형태.=> 메모리를 사용.=> 블록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길이는 변경됨.=> M박스로 표현되어 있는 곳은 메모리 소자=> 정보 비트(information digits)가 메모리 소자에 들어감.=> 메모리 소자에 들어가기 전, 후
=>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를 응용프로세스가 쳐다보고 있는것.=> Secquence Number, Acknowledge Number가 결합을 위한 정보=> Secquence Number는 TCP 데이터의 시작 주소=> Acknowledg
=> 아이피 버전 포=> 43억개는 하나의 바이트에 0~256개가 될수 있기에 256^4하면 43억개가 나옴=> A클래스는 국가 단위의 관리가 필요한 IP=> B클래스는 기관이나 규모가 큰 곳 => C클래스는 건물 단위의 소규모 클래스=> 실제 주소로 비유를 하자면 N
=> 서브넷마스크로 기존 C클래스의 3개 필드에서 더 나아가 Network ID로 Host ID를 편입시켜 관리할 수 있음=> 256개에서 126개로 변경(0, 127 맨처음 맨끝 제외)=> 위의 사진을 보면 두개의 IP로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됨.=> 이렇게 서브
=>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되어있는 노드들 간의 거리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다.=> 인접한 라우터끼리만 데이터 전달하기 위해 최종 목적지가 가기 위해서는 랜덤으로 계속적으로 다 접해보긴 해야 한다.=> LSD는 마약인데..? (ㅈㅅ..) => 마약같은 Link State
=> 이웃과 통신을 유지하는 부분에 대한 원리는 IoT 에서 센서들, 기기들과의 통신들과 굉장히 유사한 부분들이 많음.=> IoT core에서도 센서들과의 통신이 잘 연결 되어있는지.=> command가 잘 작동했는지를 req, res 가 연결이 되는데 네트워크에서 이
=> 주기적으로 웹소켓이 connecting ping 찍는거랑 비슷한듯=> 여러 링크들을 통해 어떤 링크의 끊김 신호를 해당 라우터에 전달하는 방법=> 아이디어가 대박인듯.
=> 무선도 발전에 따라 보안도 좋아지고 속도도 빨라졌고 적절한 주파수들을 찾아갔다.=> 일일히 알 필요는 없을듯.=> 여기서 2.4GHz와 5GHz의 장단점은 구별해놓는게 좋다.=> 기본적으로 5GHz가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2.4GHz가 다른 장점들이 존재.h
=> 솔직히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음 ..=> 일단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고=> 추후 필요하거나 시간이 있을때 깊게 공부해보는 걸로=> 핑거 프린트 기법을 보고 => 현재 우리 팀은 센서의 위치 정보를 어떻게 이용자에게 제시해줄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아니 사실 나
=> SDS, SDN, SDS, SDD=> SDDC=> 이번에 직접 AWS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그리고 WSL, VM, Docker 등을 활용해보니.=> 클라우드가 필수적인 상황이 되는건 어쩔수 없는것 같긴했다...=> 그런데 한가지 경계할 점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 MSA 우리 서비스도 우측과 같이 개발 중.=> 특히 NoSQL에 더 적절한듯 가볍고 빠르게 개발하고=> Docker Hub처럼 AWS에서도 이미질 레지스토리가 존재
=> 과연 운영비용이 절감될 것인가?=> 온전한 서버리스는 불가능하다.=> 서버리스, FAAS에 대표적인 AWS lambda를 생각해볼때 15분이라는 러닝 타임 제한이 존재.=>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라는 요소가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에서 제한 되는 사항이 꽤 있다.
=> 어떻게 보면 AWS 마이그레이션하면서 고민 했던 부분들이 많이 포함 되어있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떤 서비스냐에 따라도 달라지는듯하다.=> 솔직히 내가 생각해도 우리 회사 서비스에서 한 1년 동안은 고차원적인 보안이나, 재해 복구 등의 로직이 필요 없기
=> window에서 wsl2가 여기에 해당될듯?
=> 우리 회사 센서들은 오류 제어에 crc 를 씀. ![](https://velog.velcdn.com/images/2taesung/post/06d3635b-e008-46d5-b01f
현재 넥스트온의 남부터미널 사업장의 센서링 데이터를우리 서버 컴퓨터의 mosquitto 서버로 MQTT로 연결시킨 후,발행을 하는 작업을 시도해야함.이러한 과정 중에 iptime 포트포워딩이라는 과정이 필요한데ip 등..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이 없는 나에겐 무척 두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