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및 운영 GUI & CLI 활용 Web GUI Proxmox는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대부분의 관리 작업을 브라우저에서 처리할 수 있음 대시보드 보기 : CPU·메모리·스토리지 자원 현황과 VM/컨테이너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함 VM/컨테이너 관리
Proxmox VE는 오픈소스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으로, 가상머신(VM)과 컨테이너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 > Type 1 Hypervisor 구조를 기반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황용하며, 소규모 테스트 환경부터 기업용 클러스터까지 폭 넑게 활용이 가능함
SD-WAN의 개요와 등장 배경전통적 WAN(MPLS)의 한계지점·클라우드 확산에 따른 요구 변화SD-WAN의 핵심 개념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와 WAN의 결합중앙 제어·정책 기반 라우팅 구조다양한 회선(인터넷, MPLS, 5G) 통합 활용주요 기능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이자 SSE의 구성요소인 SWG와 FWaaS에 대한 개념 공부와 정리 SWG: Secure Web Gateway 정의와 필요성 > Secure Web Gateway는 기업 사용자가 인터넷과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대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을
클라우드 기술의 확산으로 인해 기업의 업무 환경은 점점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언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업무 효율은 향상되었지만, 동시에 데이터 유출, 악성 코드 감염, Shadow IT 등 새로운 보안 위협이 등장하게 됨이러한 위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와 보안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결합한 프레임워크인 SASE와 보안 기능을 담당하는 SSE에 대한정리글을 작성함SASE는 Secure Access Service Edge의 약자로 네트워크 기능과 보안 기능을 하나로 통합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이번 글에서는 요즘 보안 및 접근제어 분야에서 많이 언급되는 용어중 하나인 Zero Trust에 관한 정리 및 설며을을 진행하고자 함 ⚡보안의 환경변화와 Zero Trust 경계기반 모델의 한계 개요 > 1980년대로 초에 등장한 경계기반 모델은 네트워크 보안 아
IP주소의 할당 방식 >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은 OSI 계층에서 L3 Network 계층에 해당하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규칙과 주소 체계"로 우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함
네트워크 구성도 이해를 위한 Access Switch, Distribution Switch, Backbone Switch에 대한 정리 글을 작성함 들어가기 앞서 Access Switch, Distribution Switch, Backbone Switch를 이해하기 위
CDR : Content Disarm and Reconstruction > 한줄 요약: CDR은 파일의 악성 콘텐츠(매크로, 스크립트 등)를 제거하고, 안전한 요소만으로 파일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는 사이버 보안 기술 악성콘텐츠 제거: Disarm
Provisioning : 필요한 자원이나 서비스를 사전에 준비하고 할당하는 과정 IAM >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의 약어 IT 시스템에서 Digital ID 및 사용자 액세세 권한의 프로비저닝과 보호를 담당하는 Management
On-Demand : 필요할 때 즉시 자원이나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서 제공받는 모델사용자는 초기 설치나 장비 구매 없이 구독 또는 사용량 기반으로 이용예: AWS EC2, SaaS 앱, 클라우드 DBOn-Premise: 조직 내부에 물리적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설치·운영
1편에 이어서 작성 ✨인증서 관리와 운영 🔸인증서 발급 절차와 종류 1️⃣ 클라이언트가 공개키와 개인키로 구성된 Key Pair 생성 2️⃣ 개인키는 로컬 안전한 저장소에 보관 3️⃣ 공개키와 사이트 식별 정보를 포함한 CSR 생성 4️⃣ CSR을 인증 기관인
보안산업기사 학습 과정에서 SSL/TLS 프로토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숙지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 내용이 흐릿해지고 들으면 기억은 나지만 바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상태가 되었음 > > 클라우드 보안을 심화 학습하는 과정에서 VPN 기술 전반을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VPN Tunneling 기술 중 하나인 SSL VPN은 인터넷 환경에서 안전한 원격 접속을 제공하며 재택 근무와 분산 업무 환경에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이 글에서는 SSL VPN의 핵심 구성과 보안 메커니즘, 운영 관리, 최신 동향
현재 국내 기업·기관 환경은 재택근무, 지사 간 연동, 클라우드 자원 접근 등 다양한 네트워크 보안 요구가 존재함이러한 환경에서 VPN은 데이터 암호화와 안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VPN 터널링 프로토콜과 터널 협
☁️클라우드 환경 VPN ℹ️AWS/Azure VPN Gateway 개요 > 클라우드 환경에서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가상 네트워크(VPC/Azure VNet)를 연결할 때 VPN Gateway가 핵심 역할을 담당함 > > VPN Gateway는 인터넷을 통
☁️기술 심화 설명 터널링[Tunneling] > Tunneling은 공용 인터넷망 위에 암호화된 가상 통신 경로(터널)를 만들어 원본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기술 원본 데이터(패킷)은 캡슐화(Encapsulation)되어, 다른 프로토콜의 패킷 안에 삽입 되어
3편의 기초 구조 이해 내용의 다음으로 리버싱을 분석하는 절차와 흐름에 대해 정리하고 예시와 전략에 대해 작성함코드 흐름 분석은 리버싱의 핵심 작업 중 하나로,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그리고 어떤 조건에서 어떤 동작을 하는지 파악하는 과정이를 통해 프로그램히어떤
2편의 기본 개념과 그 차이점, 분석 방식 내용의 다음으로 리버싱의 기본적인 원리와 절차 대해 정리하고 예시와 전략에 대해 작성함프로그램 분석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어떤 모듈이 먼저 로딩되고, 어떤 함수가 호출되는지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프로그램 내부구조(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