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문제C++에서 string으로 switch문을 사용하지 못 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된 문제였다. else if문을 쭉 나열하며 작성한 코드라 조금 찝찝하지만 이거밖에 방법이 없는 것 같아서 그냥 넘어간 문제이다. ㅡㅜㅡimg이 문제는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알고리즘 문제문제 이해는 빠르게 하였지만 코드로 작성하여 정답까지 가는 길이 오래 걸린 문제이다. 아직 stack을 활용한 문제풀이가 익숙하지 않아 string을 쌩으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여 조금 오래걸린 것 같다,,,,괄호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졌을
🔗알고리즘 문제단순히 Queue 자료구조를 구현하는 문제로 vector를 사용하면 빠르게 풀 수 있지만 STL을 사용하지 않고 풀어보자 하여 배열로 해결한 문제이다. 처음으로 STL을 사용하지 않고 배열로 자료구조를 구현해보아서 꽤나 힘들었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처음으로 시간초과라는 문턱에 막혀 시간복잡도에 대해 공부하고 어떻게 해야 더 빠른 로직을 짤 수 있는지에 대해 많이 고민해본 문제이다. 이 때에 경헙을 바탕으로 코드를 짤 때 시간복잡도에 대해 고민하며 짜는 능력을 기른 것 같다.이 문제는 마치 수건돌리
🔗알고리즘 문제Queue 자료구조를 응용하는 기초적인 문제로 Queue를 알게 된 후 접하게 되어 손 쉽게 해결 할 수 있었다.이 문제는 간단하게 1부터 n까지의 숫자가 순서대로 배열에 들어있을 때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
🔗알고리즘 문제dp에 대해 익숙하지 않을 때 마주하게 된 dp문제이다,, 지금까지 dp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거의 없어 문제의 접근부터 굉장히 어려웠다. 이 문제를 계기로 dp에 대한 공부가 된 것 같아 나름 보람찬 문제였다. 문제 분석
🔗알고리즘 문제이 문제는 Deque를 구현하는 문제였는데 처음보는 자료구조여서 로직을 생각해내기 힘들었다,,, 다른 부분은 생각하기 쉬웠지만 push_front일 때 배열에 앞 부분에 값을 추가해야하는데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감이 안잡혀서 조금 애먹은 문제였다,,이
🔗알고리즘 문제 > > 몇개의 로직을 생각하는데에 조금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골드1의 난이도 치고는,,? 꽤나 쉽게 풀 수 있던 문제였다. 이 문제를 풀면서 확실히 수학관련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다,,,,,,, 수학 열심히 공부해야지 문제 분석 이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지금까지는 문자가 알파벳인지 판단하는 로직을 아스키코드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는데 이 문제를 풀면서 isalpha라는 편리한 함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stack 자료구조에 대해서 더욱 공부할 수 있는 문제였다.이 문제는 후위표기식으로 이루어진 식이
🔗알고리즘 문제이 문제에서는 기본적인 sort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못하고 중요도에 따라 새로운 정렬기준을 만들어 해결해야했다. 지금까지 누가 만들어놓은 로직만 사용하다 내가 직접 구현하려니 힘들었다. 그래도 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것 같아
🔗백준 알고리즘와,, 내가 플레티넘 문제를 푸는 날이 오는구나 싶었고 처음으로 높다고 생각하는 난이도를 스스로 해결해서 굉장히 기뻣다 !! 물론 플레티넘 문제 중에서도 쉬운 편인 문제 같기는 하지만 풀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기로 ,,,,이 문제는 <span sty
🔗알고리즘 문제기본적인 deque문제이지만 deque에 대해 잘 모르던 시절 풀게 된 문제라 힘들게 해결하였다,, deque라는 자료구조에 대해 더 잘 알수있게 된 문제이다.이 문제는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
🔗알고리즘 문제이 문제는 온전히 내 힘으로 해결하지 못하여 조금 내 자신에게 실망스러웠다,, 알고리즘 사고 능력을 좀 더 길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이 문제는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알고리즘 문제이 문제는 스택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스택 자료구조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 좋은 문제였다. 문제가 굉장히 길지만 문제의 핵심은 결국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
🔗알고리즘 문제DP 문제의 기초라고 볼 수 있는 피보나치 관련 문제로 이제 이정도 DP 문제는 가볍게 풀 수 있게 되어 뿌듯했다 !출처피보나치 함수는 위 이미지와 같이 재귀형식으로 진행된다.이 문제는 간단히 말해서 <span style="color:black;
🔗 알고리즘 문제이 문제는 지금까지 풀어왔던 자료구조 문제중 로직을 생각하기 가장 어려웠던 문제였다,,,혼자서는 생각해내기 너무 어려운 문제여서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었다.앞으로는 이런 문제도 혼자서 풀 수 있게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또한 오랜
🔗알고리즘 문제map을 처음 사용하게 된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자료구조를 알게되어 좋았다. 문제를 해결해가며 문자가 숫자인지 아닌지 판단해주는 isdight()함수를 새로 알게 되었다.이 문제는 간단하게 Map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span
🔗알고리즘 문제간단한 dp문제이지만 처음에 너무 어렵게 생각하는 바람에 해결하는데 오래걸린 문제이다. 아직 dp에 관해서는 많이 부족하다고 느껴져 앞으로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지 고민이다..이 문제는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
🔗알고리즘 문제학교 자료구조시간에 풀었던 스택문제와 굉장히 비슷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어 어렵지 않았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한마디로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괄호를 보자마자 아 ! 이 문제는 스택이다 라는생각
🔗알고리즘 문제자료구조 문제를 계속 연습하던 도중 만나게 된 반가운 스택문제였다. 평소에 스택 자료구조를 좋아하기도 하고 스택 문제에는 자신이 있어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역시 스택 문제는 생각하기 재밌는거 같다.문제가 길어 읽는데에 시간이 좀 걸렸지만 결국은 &l
🔗알고리즘 문제연결 리스트를 이용하여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최근에 자료구조 수업시간에 배운 연결 리스트를 문제를 푸는데 사용하여 더 잘 이해한 기분이었다.간단히 말해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이때 명령들
🔗알고리즘 문제자료구조시간에 배운 맵을 활용하여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로 맵에 대한 지식을 정비하며 풀어본 문제이다.이 문제는 단순히 회사에 출입한 사람의 명단이 주어질 때 회사에 끝까지 남아있는 사람을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맵을 사용하여 사람의 이름과 현재 해당
🔗알고리즘 문제지금까지 골드 문제란 것에 대해서 조금 겁을 먹고 있었는데 이제 슬슬 도전해봐야겠다고 생각이 들어 풀게 된 문제이다. 평소 좋아하고 자주 사용하던 자료구조인 우선순위 큐를 이용하는 문제여서 생각보다 손 쉽게 풀 수 있었다.이 문제는 <span st
🔗알고리즘 문제실버5 문제이지만 생각하기 조금 복잡했던 문제 그래도 나름 깔끔하게 잘 푼 것 같다.이 문제는 간단하게 집합 하나를 구현해내는 문제이다.300만이라는 큰 수의 연산을 모두 처리해야 하기에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시간초과가 날 것 같았다. 고민해본 결과 간단
🔗알고리즘 문제처음으로 풀어본 DFS문제이다. 잘 풀어내긴 하였지만 아직 DFS를 사용해서 잘 푼 것인지 내가 발상을 잘 해낸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들어 더욱 많은 관련 문제를 풀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이 문제는 간단히 말해서 <span style="colo
🔗알고리즘 문제부족한 반복자의 관한 지식으로 잠시 해맸었 던 문제이다. 이 문제를 통해 내가 미처 몰랐던 부분을 보충하고 넘어갈 수 있었고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어 좋았다.이 문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단순히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에 접근 할 수 있는 prior
🔗알고리즘 문제기존의 소수 문제와 똑같이 먼저 소수를 구한뒤에 소수로 나눠주는 작업을 해야겠다 ! 라고 생각했지만 무수한 실패와 시간초과를 경험하고 도저히 생각이 안난다 싶어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조금 참고하여 푼 문제이다.문제에 나온 그대로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알고리즘 문제간단한 map 활용 문제로 어렵지 않게 해결하였다.이 문제는 문자열을 입력받고 해당 문자열이 문자열 집합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확인해주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다.처음에는 vector자료구조와 find()함수를 이용해 값을 찾아나가려 하였지만 for문을 진행
🔗알고리즘 문제아직 문제를 더 풀어봐야 되겠지만 그래프 탐색 문제도 꽤나 생각할 거리가 있어 재밌는거 같다. BFS와 DFS에 관해서는 추후에 정리해봐야겠다.이 문제는 상근이가 알고 있는 친구들의 친구 관계가 주어질 때 상근이의 결혼식에 누구누구를 초대할지 알아야하는
🔗알고리즘 문제BFS문제는 항상 문제가 직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어서 재밌고 풀기 쉬운 것 같다.이 문제는 토마토 창고에 들어있는 토마토들의 정보가 주어질 때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이 때 하루가 지나면 익은
🔗알고리즘 문제DFS를 이용하여 쉽게 풀 수 있던 문제이다. 이제 그래프 탐색에 조금 익숙해진 것 같아서 뿌듯하다 : )이 문제는 간단히 말해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1번 노드에서 부터 시작하여 연결 된 노드
🔗알고리즘 문제그래프 탐색 문제를 약간 응용하여 해결한 문제. 아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도이고 시간과 메모리는 챙기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이 문제는 그래프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그래프가 몇 덩이로 나뉘어져 있는지 알아내는 문제이다.그래프가 몇 덩이인지 알아내
🔗알고리즘 문제아직 그래프 탐색 문제의 응용은 조금 약하구나 라는 생각이 든 문제, 그래프 탐색은 더욱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이 문제는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이때 수빈이가 1초가 지날동안 할 수 있는 행
🔗알고리즘 문제 > > 그리디를 사용하여 해결한 문제이다. 그리디 문제는 접근만 잘 한다면 코드 자체는 어렵지 않은거 같지만 아직 접근하기가 조금 어려운 것 같다. 문제 분석 회의실 사용시간표가 주어질 때 겹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는 최대 회의의 갯수를 구하는 문
🔗알고리즘 문제 > > 분할정복을 통해 해결한 문제 간단한 알고리즘을 가진 문제이지만 분할정복에 익숙하지 않아 시간이 오래 걸린 문제이다.. 앞으로 문제 편식을 하지 말아야겠다.. 문제 분석
🔗알고리즘 문제자료구조 수업시간에 해결한 문제, 나름 알고리즘을 많이 풀어보고 익숙하다고 생각하여 자신있게 도전하였고 생각보다 잘 풀 수 있어 기분이 좋았다 : )이 문제는 문자열과 폭탄 문자열이 주어질 때 문자열에서 폭탄 문자열을 모두 제거하여 출력하는 문제이다.이
🔗알고리즘 문제처음 풀어본 좌표압축 문제이다. 처음 본 유형의 문제이지만 어렵지 않은 개념이라 쉽게 해결할 수 있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span style="color:black; background-color: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수직선 위에 3 5
🔗알고리즘 문제이제 정말 그래프 탐색 문제에 익숙해졌구나라고 느낀 문제. 최근 그래프 탐색에 관해 공부한 후 한동안 그래프 탐색 문제만 풀었는데, 이제 간단한 그래프 탐색 문제는 문제를 보자마자 바로바로 풀 수 있게 되어 매우 뿌듯했다 &-&이 문제는 0과 1로 이루
🔗알고리즘 문제간단한 BFS로 해결할 수 있는 쉬운 그래프 탐색 문제이다.이 문제는 캠퍼스의 정보가 2차원 배열로 주어질 때 도연이가 사람들을 몇명이나 만날 수 있는지 탐색하는 문제이다.이 때 도연이는 X의 막힌 사람을 만나지 못하여 최대 1명의 사람을 만날 수 있다
🔗알고리즘 문제최근 그래프 탐색 문제에 재미 들린 것 같다. 이번에도 그래프 탐색 문제!! BFS를 조금 응용한 문제로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이 문제는 1부터 100번째 칸까지 있는 보트판에서 100번째칸에 도달 할 때 주사위를 던지는 최소 횟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알고리즘 문제실버3 문제이지만 수학을 통한 식 세우기가 조금 어려웠던 문제. 수학은 항상 공부하지만 응용은 언제나 어려운 듯 싶다.이 문제는 해빈이의 옷장 정보가 주어질 때 해빈이가 옷을 겹치지 않고 알몸이 아닌 채로 입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해빈
🔗알고리즘 문제시간초과로 인해 꽤나 고생했던 문제, BFS를 이렇게도 활용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문제였다.이 문제는 A가 B가 될때 까지 사용되는 커맨드를 알아내는 문제이다.이 때 사용되는 커맨드는 위에 4개와 같다.이 문제는 현재 넘버에서 4가지의 커멘드를
🔗알고리즘 문제간단한 그래프 탐색으로 해결한 문제이다. 점점 그래프 탐색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이 좋아지고 있는 것이 느껴져 보람차다.이 문제는 R G B로 이루어진 그림 정보가 주어질 때 일반인과 적록색약이 보는 구역의 갯수를 각각 출력하는 문제이다.적록색약인 경우에
> [🔗알고리즘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7569) > > 이전에 해결하였던 [토마토 문제](https://velog.io/@ehdbs28/백준-7576-토마토)와 유사한 문제로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 문제 분석
🔗알고리즘 문제오랜만에 풀어본 DP문제이다. 오랜만에 푼 만큼 해결방법이 잘 생각나지 않아서 힘들었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사진에 나온것처럼 2\*n의 직사각형을 1x2 2x1 2x2 3개의 도형을 이용해서 채우려할 때 몇가지 경우가 생기는지를 알아내는 문제이다.2×n
🔗알고리즘 문제시간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고민을 하게 된 문제이다. 내 손으로 직접 코드를 수정하고 시간을 줄여 알고리즘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언제나 짜릿한거 같다.이 문제는 간단하게 설명해서 일정한 int형 배열을 입력받고 햄버거를 얼마나 만들 수 있는지 출력
🔗알고리즘 문제프로그래머스의 문제는 대부분 로직자체는 떠올리기 쉽지만 시간초과로 인해 고생하는 문제들이 많은 것 같다. 평소 코드 최적화를 잘 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는데, 종종 프로그래머스도 풀며 연습해보아야겠다!이 문제는 기사의 수, 공격력 제한, 제한수치 초과 시
🔗알고리즘 문제예외 처리 해줄것이 많고 발상이 쉽지 않아 어려웠던 문제. 그래도 혼자 힘으로 해결할 수 있어서 풀고 난 후 내 자신이 대견했다 ^\_^이 문제는 각각의 칸마다 수들이 적혀있고 이 보드판에 테트로미노 도형을 하나 둘 때 놓여진 자리에 수가 가장 큰 경우
🔗알고리즘 문제오랜만에 해결한 그리디 문제 그리디는 자신이 없어서 실버 문제이지만 안풀고 남겨뒀었는데 이제 더이상 남겨둘 수 없어서 풀게되었다.괄호가 제거된 수식이 주어질 때 괄호를 추가하여 값이 가장 작아지는 경우를 찾으면 된다.이 문제를 풀기 위해 수식에서 가장
🔗알고리즘 문제 > > 비둘기집 원리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된 문제이다. 로직 자체의 문제가 아닌 원리를 이용하여 시간초과를 해결해본 적은 처음이라 신기하였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사람들의 mbti가 주어질 때 이 중 가장 가까운 세 사람의 심리적 거리를 알아내는
🔗알고리즘 풀이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라는 처음 보는 이론이 등장하여 공부해보았지만 알고리즘에 적용시키기는 힘들었다.. 고민고민하다 힌트를 보았는데 굳이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해결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생각보다 싱겁게 해결하였다. 사고가 갇히지 않고
🔗알고리즘 문제로직 자체는 금방 작성했지만 예외처리를 하나 빼먹어서 오래걸린 문제 반례를 직접 생각하는 힘이 아직 부족하구나라는 것을 뼈져리게 느꼇다...이 문제는 문자열 속에 P문자열이 몇 개 들어있는지 찾아내는 문제이다.P문자열은 N+1개의 I와 N개의 O로 이루
🔗알고리즘 문제기본적인 BFS가 아닌 BFS 심화격인 문제이다. 단순히 check만 표시해야 하는 것이 아닌 3차원 구조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 신박했다.이 문제는 0, 0좌표에서 m, n 좌표까지 이동하는 최단 거리를 찾는 기본적인 길 찾기 문제이다. 단 이동하는 도
🔗 알고리즘 문제24일 진행했던 알고리즘 스터디에서 친구가 풀이하여준 문제 친구의 풀이를 듣고 직접 생각하며 다시 한번 풀어보았다. 설명을 들을 후 내가 다시 문제를 풀어보니 더욱 이해도 잘 되고 쉽게 풀 수 있었다.백트래킹의 대표적인 문제로 불리는 N퀸 문제이다.
🔗 알고리즘 문제24일 알고리즘 스터디를 진행하며 친구가 풀이해준 문제이다. 평소 약하다고 생각하는 재귀 문제이지만, 친구의 풀이를 듣고 내가 직접 풀어보니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여느 별 찍기 문제와 같이 예제를 보고 규칙을 찾아 규칙대로 별을 찍으면 되는 문제이다
🔗 알고리즘 문제간단한 BFS로 해결할 수 있었던 문제정수 A와 B가 주어질 때 A를 B로 만들기 위한 연산의 갯수를 출력하는 문제이다.이 때 할 수 있는 연산은 현재 값에 2를 곱하는 것과 현재 값에 10을 곱한 후 1을 더하는 것 2가지이다.DP로 해결할가 하였지
🔗알고리즘 문제보자마자 아 DFS문제!! 라는 생각이 들었다. DFS로 해결하였지만.. 시간초과를 해결하기 위한 발상을 해내기가 조금 힘든 문제였다.이 문제는 트리의 지름을 출력하는 문제이다.어떤 트리에서 거리가 가장 먼 두 노드를 양쪽으로 쫙 잡아당기면, 그 외의
🔗 알고리즘 문제 > > 다익스트라를 공부한 후 확인 차 풀어본 문제입니다. 다익스트라의 기본 개념 문제라고 볼 수 있기에 쉽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그래프의 정보와 시작 정점이 주어질 때 시작 정점에서 각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출력하는
🔗 알고리즘 문제이제 그래프 탐색 마스터를 해버린건지, 골드 3이지만 쉽다? 라고 느껴진 문제. 문제를 보자마자 생각난 방법으로 코드를 짜고 바로 정답을 받아 너무 행복했던 문제이다.문제가 조금 길지만, 정리해보자면 2차원 배열에서 1이 모두 없어질 때 까지 몇번 걸
🔗 알고리즘 문제기본적인 다익스트라 문제이지만 경로를 역추적하는 아이디어를 깔끔하게 생각해내기가 쉽지 않아 다소 어려웠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그래프의 정보와 시작점, 끝점이 순차적으로 주어질 때 시작점에서 끝점까지 이동하는 최소비용과 그 때에 이동 횟수와 이동 경로를
🔗 알고리즘 문제방문 체크 조건을 생각해내기가 어려웠던 BFS문제. 그래프 탐색 문제를 많이 풀어보며 실력이 늘었다고 생각했지만, 문제를 조금만 꼬아도 머리가 멈춰버리는 느낌이다... 좀 더 연습해야겠다!이 문제는 수빈이가 동생을 잡는데까지 몇 초가 걸리는지 알아내는
🔗 알고리즘 문제단순 n + 1번 다익스트라를 써서 해결한 문제. 먼가 찝찝해서 문제 평가를 읽어보니 역방향 다익스트라를 쓰는 아이디어로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나중에 다시 한번 풀어봐야겠다.이 문제는 x라는 도착점이 주어질 때 시작점에서 x를 찍고 다시 시작점으로
🔗 알고리즘 문제 > > 알고리즘 스터디 시간에 친구가 풀고 있는 것을 보고 나도 한번 풀어본 문제! 백트래킹에 대해서 공부한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개념을 생각해내는 것이 아닌 구현만 주의해서 차근차근한다면 풀 수 있는 문제기에 풀어낼 수 있었다. 문제 분
🔗 알고리즘 문제단순 백트래킹 문제이지만, 백트래킹에서 필요없는 수는 제외하기 위한 그리디 조건을 생각해내는게 어려웠던 문제이다.이 문제는 두 수 a와 b가 주어질 때 b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수 중 a보다 크거나 같은 수 중 최소, a보다 작은 수 중 최대 수
🔗 알고리즘 문제문제를 꼼꼼히 읽지 않아서 몇번 틀렸던 문제이다. 앞으로 문제를 휙휙 넘기지 말고 찬찬히 읽어봐야겠다..이 문제는 가중치가 양수인 무향간선과 가중치가 음수인 유향간선의 정보가 주어질 때 해당 그래프에서 음수 사이클이 일어나는지 체크하는 간단한 벨만 포
🔗 알고리즘 문제분할 정복을 이용한 거듭 제곱을 공부하게 된 문제이다. 해당 알고리즘도 꽤나 자주 사용되는 듯 싶어 나중에 한번 공부하여 정리해봐야겠다.해당 문제는 a, b, c를 입력받아 a^b를 c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는 간단한 문제이다.위와 같은 단순한 for
🔗 알고리즘 문제 > > 간단한 재귀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트리 문제이다. 재귀 문제를 연습하며 나름 재귀를 생각하는 능력이 올라간 느낌..? 문제 분석 이 문제는 간단하게 트리를 순회하고 순회한 결과를 출력해주면 된다. 트리를 순회하는 방식은 3가지로 나
🔗 알고리즘 문제가중치의 값을 잘 생각해야하는 MST문제이다. 아직 MST가 익숙하지 않아 꽤나 고난을 겪었지만, 그래도 잘 해결해서 뿌듯하다.이 문제는 각 나라에 방문할 때 내야하는 비용과 도로를 이동할 때 드는 비용이 주어질 때, 최소 금액으로 각 나라를 모두 한
🔗 알고리즘 문제시간초과를 해결하기 위해 애를 쓴 그리디 문제이다.이 문제는 도둑이 가져갈 수 있는 최대 가격의 보석을 알아내는 간단한 그리디 문제이다.간단한 그리디 발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들어오는 데이터들이 많기 때문에 조금 생각을 해줘야 한다.입력받
🔗 알고리즘 문제 > > 문제 아이디어를 떠올리기가 나름 힘들었던 문제이다. 트리의 전위, 후위, 중위 탐색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 문제이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어떤 트리의 중위 순회한 결과와 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질 때, 해당 트리를 전위 순회
🔗 알고리즘 문제그래프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지 생각해야하는 위상정렬 문제이다. 단순 위상정렬 문제이기에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었다.이 문제는 가수들의 출연 순서가 차례대로 주어질 때, 먼저 나가야 하는 가수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출연 순서가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