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하이드레이션(Hydration)의 방법을 설명하며, 각각 어떤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액트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진 10가지의 유용한 훅(hook)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리액트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계신다면 분명 도움이 될 훅이 하나쯤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지난주, 타입 구문을 자바스크립트에 도입하는 0단계 제안을 발표했습니다. 제안하게 된 배경이 무엇이었는지, 어떤 방식으로 타입이 도입될 것을 제안했는지, 또 앞으로 어떤 것들을 계획하고 있는지 등을 이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velteKit를 이용해 포트폴리오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튜토리얼입니다. 아직 포트폴리오 웹사이트가 없으시다면 이번 기회에 사이트도 만들고 SvelteKit도 배워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
정확히 언제 그리고 왜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는 것일까요? 이 글에서는 리액트 커뮤니티에서 가장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인 "리액트는 언제 또는 왜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나요?"에 대해 조금의 리액트 소스 코드를 사용하여 답하고 있습니다.
Axios와 Fetch API에 대해 소개하고 비교하는 글입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설치방법 부터 간단한 성능 비교까지 기본적인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웹 퍼포먼스는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 글에서는 메인 스레드에서, 또 메인 스레드 밖에서 메인 스레드가 최대한 빠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이미지 로딩 경험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점진적 로딩에 대한 글입니다. 점진적 로딩이 무엇인지, 또 리액트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안내합니다 :)
useEvent RFC가 발표되었습니다. 아직 RFC이기 때문에 실제 적용될지 여부는 확정된 것이 없지만, 그동안 useEffect, useCallback만 으로 쉽게 해결할 수 없었던 pain point를 해결해 줄 것으로 보여집니다 :)
SSR 자바스크립트 프로젝트를 만드는 프레임워크인 Remix에 대한 글입니다. Remix의 주요 기능과 개념을 살펴보고 Next.js와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C39의 stage2 프로세스를 진행중에 있는 ECMAScript의 새로운 데이터 구조인 Record와 Tuple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Record와 Tuple이 무엇인지, Object와 어떻게 다른지, 언제 사용 가능한지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모듈에서 왜 default export가 좋지 않고 더 안좋은 개발자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는 짧지만 재미있는 글입니다 :)
리액트에 느끼는 아쉬운 점들을 꽤 적나라하게, 하지만 또 재미있게 풀어낸 글입니다. 아쉬운 점을 나열했지만 제목처럼 리액트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습니다 :) 원문의 마지막에 링크되어 있는 리액트가 보낸 답신까지 같이 확인해보세요!
React Query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페칭하고 캐싱하는 방법을 설명한 짧은 글입니다. 원문의 블로그에서 게재하고 있는 React Query 시리즈 중 하나로, 좋은 내용이 많으니 다른 글들도 함께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프런트엔드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로서 자료구조 공부는 필요한가요? 프런트엔드를 개발하며 얼마나 자료구조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이 글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시를 통해 프런트엔드에서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리액트 컴포넌트를 작성하다보면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 여러개의 useState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를 종종 마주치는데요, 이 글에서는 useReducer를 사용하여 그러한 “useState 지옥” 으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잘 알려진 UI 패턴을 프런트엔드 개발에 적용하는 과정을 적은 글입니다. 리팩토링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쫓아가며 UI 패턴을 실제 리액트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그 이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Jotai를 만든 Daishi Kato의 글로 Jotai를 위한 데이터 페칭 API는 무엇일지 찾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