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마운트 시 1 -> 4 -> 5 -> 3 버튼 클릭 시 1 -> 4 -> 3 -> 2 컴포넌트는 부모부터 호출된다. 하지만 useEffect는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실행된다. 이유는 리액트의 실행과 관련있다. 렌더 단계 렌더는 위에서 아래(부모→자식)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 를 따른다.즉, 코드가 작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변수가 어디까지 보이는지가 결정된다.보통은 함수 안의 변수는 함수 밖에서 접근할 수 없다.함수가 실행되고 끝나면 내부 변수들은 사라진다. 더이상 참조하지 않으니 G
이번 주에는 PR 템플릿을 바꾸자고 제안했다.기존 문제와 개선 이유를 정리해서 팀에 공유했더니, 다행히 팀원들이 긍정적으로 수용해주었다. 기존 문제 / 개선 이유 작업 내용에서 “왜 이 작업을 하는지” 맥락이 드러나지 않아 혼동이 있었다. 스크린샷이나 영상은 케이
스코프는 변수, 함수의 참조 유효범위이다. 쉽게 말하자면, 어느 위치에서 참조할 수 있는지다.스코프의 종류전역 스코프로컬 스코프스코프의 레벨함수 스코프 (var)코드 블록 스코프 (let, const)앱이 실행되면 전역 컨택스트가 가장 먼저 생성된다. 함수가 실행되면
🔫 2달 남았다 앞으로 남은 시간은 불과 두 달. 시간이 정말 믿기지 않을 만큼 빠르게 흐른다. 요즘 아침 일찍 출근해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리팩토링 같은 개인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누군가 "아침에 일찍 가는 게 힘들지 않냐"고 물었다. 신기하게도 한 번도 힘

자바스크립트는 가끔 비동기 처리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비동기 처리 - 콜백함수, 프로미스, async/await]로 작성했다. 자바스크립트 실행 환경(런타임 환경)은 brower/node가 있고, 브라우저라면 크롬이 될 수 있다. 이번에는 여기에 이어서

이번주는 최적화에 대한 개인 미션을 진행했다.성능을 개선할 때는 2가지 관점이 필요했다.첫째, "왜?" - 이유와 시기.둘째, "어떻게" - 수치.결국 이 두 질문은 모두 사용자 경험을 위한 것이다.예를 들어, 이미지를 최적화했는데 화질이 지나치게 떨어져 사용 경험이
비동기 처리가 궁금한 이유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PI 통신을 위해 비동기 처리를 많이 하게 됐다. 그러면서 "항상 async/await으로 처리해야 하는 건가?"라는 의문이 생겼고, "async/await"이 없을 때는 어떻게 처리했을까? 궁금해서 비동기 처리에
"꿈이 뭐야?", "이상형이 뭐야", "대학교는 어디야?" 같은 질문들은 당황스럽다.말할 게 없어서가 아니라, 무슨 의도로 물어본 건지 알 수 없어서 대답이 망설여진다. 그래서 보통 되묻는다."어떤 꿈을 말하는 거야? 5년 후의 목표 같은 거?""이상형은 외모? 성격?
9월 4일우리 프로젝트는 리팩터링이 필요하다. 더럽고 복잡해서 이해할 수 없는 코드가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요구사항이 변경돼서, 버그를 수정해야 돼서, 애초에 완벽한 코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좀 더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쉬운 코드를 만들고 싶다.당신은
오전에 준이 진행했던 '단기적으로 창의성 늘리는 방법'을 정리했다.알고리즘을 예로 들면, 1문제를 풀어도 다양한 접근 방식을 해보는 것.10가지 이상으로 풀어보기,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예를 들어, 당신이 양자역학을 초등학생에게 설명해야 한다면? 답변은 다양할 수 있다

바닥부터 개발 환경 세팅하기! create-react-app, create-vite 같은 도구 도움을 받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