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3.0 시대를 맞아, 2.10.0에서 개발하던 Flutter SDK 버전을 3.0.1로 올렸다.올린뒤 빌드 하자 나타나는 에러메세지들,,,에러메세지를 보면 flutter SDK의 path에 .pub-cache 쪽에서 발생하는 에러임을 발견할 수 있다.아래
오늘 아침까지만 해도 배포가 잘 됐었는데,,,저녁에 하니까 갑자기 cocoapods.org 에 접근할 수 없다며,,, 403에러를 내버렸다,,,해결방법은 podfile에 다음 라인을 추가하는 것이다.platform :ios, '11.0'source 'https:
const vs finalconst : compileTime 에서, 생성이 된다. complie될때 생성이 되므로, 리소스를 아낄 수 있다.앱이 실행된 이후에 값 변경이 불가능 하다.final : RunningTime 에서 생성이 된다.앱이 실행된 이후에 값 변경이 가
Flutter의 TextField위젯에서 입력을 받다보면, 정규식을 이용해야 할 때가 온다.검색을 하다보면, 늘 그렇듯이 내가 원하는 입맛에 딱 맞는 코드는 안나오는게 국룰.이 글을 보는 독자들도 딱 입맛에 맞는 것은 아니겠지만, 최대한 큰 틀에서 설명 해보고자 한다.
Use the factory keyword when implementing a constructor that doesn’t always create a new instance of its class. For example, a factory constructor mig
Unhandled Exception: Scaffold.of() called with a context that does not contain a Scaffold.이 에러가 발생한 이유는, 해당 context가 scaffold가 있는 context가 아니라는 이슈이다.따
CustomScrollView의 slivers안에 Listview 또는 GirdView를 사용할 때,
A widget that has mutable state.State is information that (1) can be read synchronously when the widget is built and (2) might change during the lifet
Flutter로 개발하던 도중, 해당 에러가 발생했다.plugin을 새로 pubspec.yaml에 추가한뒤, ios simulator에 build를 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해결방법차례대로 terminal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시 잘 빌드 된다.
Localization을 적용해서, CupertinoDatePicker 에서 localization이 반영되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할 경우엔 위 스크린샷과 같이 년/월/일 로 지정되게 나오도록 하고자 한다.엄밀히 말하자면 지역 에 따라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언어에
GA(Google Analytics)는 앱의 사용성과 유저 참여의 통계를 제공하는 무료 앱 측정 솔루션이다. Analytics는 사용자의 행동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를 통해 앱 마케팅 및 성능 최적화와 관련하여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다양한
첫번째 이유 : 지인중에 한명(ㅈㅅㅎ)이 아이폰을 사용중인데 기본"메모"앱에서 설교노트를 작성하는 점을 보고, UX/UI를 입혀서 기본적인 메모앱을 구현하면 좋을거 같다는 생각을 함. AppStore에. 설교노트를 찾아본 결과, 검색되는 것이 없었음. => 그래서 만들
개발을 하다보니 에러가 많이 발생하기 마련이다.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 이유는, SingleChildScrollView() 안에 ListView() 가 들어있었기 때문이다.SingleChildScrollView()와 ListView()는 같이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SafeArea() : https://api.flutter.dev/flutter/widgets/SafeArea-class.htmlBottomAppBar() : https://api.flutter.dev/flutter/material/BottomAppB
Flutter를 이용해서 UI를 만들다보면 True / False 값에 따라 위젯이 보여지고 안보여지는 것을 컨트롤 할 수 있다.이때, Visibility() 위젯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imageAppBar()는 PreferredSize() 위젯을 기반으로 만들어
Integration Test를 짜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났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속 찾아봤지만, 명확하게 "이것 때문이다."라고 하는 답이 없었다. 계속 헤매던 와중에 발견했다.✅ 개발 하던 도중에 Key값을 가져오려고 했다. find.byValueKe
✅ TestCode 우선 Provider 를 이용해서 Counter app 을 구현했다. 앱의 구조는 아래와 캡쳐 사진과 같이 구조를 짜봤다. image 👨💻 lib/main.dart > ✓ MaterialApp 을 ChangeNotifierProvid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변경했을때, 앱이 여전히 제대로 동작한다는 것을 테스트 코드를 통해 보장할 수 있다.단위 테스트는 하나의 함수, method 또는 클래스의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아주 유용하다. test 패키지는 단위 테스트 작성을 위해 핵심 프레임
A Flutter test code for basic counter app.앱 테스트Unit Test : 단위 기능, 방법 또는 클래스를 테스트. (가장 작은 단위의 테스트)Widget Test : 단일 위젯을 테스트. (컴포넌트 테스트)Integration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