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는 둘 다 저장소로서의 기능은 대부분 동일하다.하지만 sessionStorage의 경우 세션이 종료되면 저장된 데이터도 함께 사라진다는 점이 다른점이다.localStorage로컬에 도메인 별로 지속되는 storagelo
먼저 비동기 작업이란 특정 코드의 로직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나머지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것이다.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웹에서 메인 스레드를 차단하지 않고 시간 소모적인 작업을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이다.Promise는 비동기 함수의 결과
React를 배우는 중에 :not(:last-child)구문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봤기때문에 바로 해석하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코드는 읽고 해석할 수 있게 쓰여졌기때문에 찾아보고 해석하면 금방 이해할 수 있었다.:not()은 특정 조건을 제외하라는 말이고 :last-
삼항연산자 안에 삼항연산자className = {this.state.clicked ? (this.state.validate ? 'success' : 'failure') : "" }위와 같은 문장이 있었다. 이런 문장을 처음봐서 그런지 해석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이제는
음 이거는 별거 아니지만 위의 사진처럼 parsing error가 뜨는 것을 보았다. 오류를 자세히 보면 'SubApp' has already been declared.라고 떠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문장의 뜻만 봐도 이미 선언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
먼저 위의 문장을 보면 boardJPQLQuery.leftJoin(reply).on(reply.board.eq(board));를 보면 on절을 명시해줘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밑에 문장 boardJPQLQuery.leftJoin(board.member, member)
spring boot를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사소한 것에서 잘 안되는 때도 있었고 정말 복잡한 문제도 있었다. 그 중에서 이번에 만나 오류는 제 생각에는 간단한 오류였다. 하지만 구글에 찾아봐도 잘 나와있지 않아서 수정하는데 생각보다 시
앞에서 마주한 400번 에러를 처리하니까 500번에러는 마주했다.ㅎㅎㅎ 어쩔 수 없지... 천천히 처리하는 수 밖에... > GET http://localhost:12000/replies/list/440?page=1&size=10 500 (Internal Server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에러에 대해서 너무 많이 마주쳤다. 그 중에서 400번 에러에 대해서 제가 해결한 방법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GET http://localhost:12000/replies/list/undefined?page=1&size=10 400
이번에 spring boot 수업이 끝나고 또 한번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번에 우리 팀이 하게 되는 작업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는 커뮤니트 홈페이지를 만들기로 했다. 제가 맡은 파트는 카카오맵 API를 받아서 정보를 뿌려주는 작업과 유기동물 API를 불러와
DB와 연결하기 위해 DAO를 작성하고 있었다. sql문을 작성해서 executeQuery나 executeUpdate로 DB에 주입하는 것은 알았지만 둘의 정확한 차이를 알지 못 했다. 왜 executeQuery를 쓸 때가 있고 executeUpdate를 쓸 때가 있는
자바를 활용해서 웹이랑 통신하기 위해서는 session과 cookie라는 저장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보였다. 먼저 session은 서버에 저장하는 공간이다. 서버에 저장하므로 주로 ID,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은 session에 하고 브라우저한
저는 jsp를 통해서 브라우저에 화면을 띄우는 과정에서 sendRedirect와 RequestDispatcher가 똑같이 브라우저에 jsp를 띄우는 거 아니야? 뭐가 다른거야? 배우기는 했지만 가지고 있는 지식이 많지 않아서 확실하게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복습하
저는 공부할 때 뭔가 내가 공부하는 부분이 눈에 보이면 공부하기 훨씬 쉽고 생각하기 편할 것 같다는 생각에 건축공학과를 전공으로 선택하게 되었는데 막상 가서 공부하니까 저와 굉장히 안 맞는 느낌이 팍팍 들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직접 공사현장에 나가봐야한다
JSTL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뜬다면 jstl파일의 위치를 확인해야한다.저는 WEB-INF파일 안에 lib에 jstl을 넣었는데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았다. 분명 맞게 넣었는데 이상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은 밑에를 따라해보시기바랍
제목에 보이는 오류를 만났을 때 직감적으로 전에 project를 실행한 것이 아직 tomcat에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아래 그림에서 와 같이 Tomcat에 걸려있는 project를 제거했다.하지만 제거했는데도 불구하고 같은 오류가 나왔다. 그래서 찾
이번에 프로젝트가 끝나고 BackEnd쪽 수업을 진행했다. docker를 이용해서 oracle과 mysql을 연결하고 eclipse를 통해서 DB와 연동하면서 웹에 데이터를 찍어낼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말 알고 싶었던 부분이고 궁금했던 부분이고 어떻게 DB
프로젝트를 하면서 hover 기능을 넣을 일이 있었는데 hover를 하니까 글씨가 나오면서 밑에 있는 줄이 깨지더라고요. hover를 했을 때 나오는 글은 display 속성을 none으로 했는데 왜 깨지는 지 이유를 알 수 없었습니다. 옆에서 보던 훌륭한 팀원분이 d
내 정보 공개 여부를 처음에 radio를 사용해서 공개 비공개로 클릭할 수 있게 했는데 공개를 선택했을 때는 js에서 받아서 server로 값을 옮기는데 비공개로 바꾸고 보내니까 잘 안보내지더라고요. 두 개가 공개 비공개로 나눠져있어서 공개를 선택한 것과 비공개를 선택
css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background가 제대로 들어가지를 않더라고요... 훌륭하시 팀원분이 height를 100vh로 사용해보라고 도움을 주셔서 사용했는데 background가 잘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팀원분이 알려줬을 때는 아 저거 그냥 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