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IST를 통한 AI model의 학습 과정을 알아봤었고, 그중에서도 지난 번에는 feed-forward 과정을 보았었다. MNIST 손글씨 이미지는 Feed-forward 과정을 거치며 숫자에 대한 예측 값을 output으로 도출해낸다. 그러나 여기서는 가중치와 편향 값을 계산에 활용만 했을 뿐이고 숫자를 알아맞히기에는 모델의 능력이 턱없이 부족한 ...
MNIST는 손으로 쓴 숫자들로 구성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이다. 'Modifie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약자로, 주로 컴퓨터 비전, 이미지 처리, 머신러닝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벤치마크 데이터셋
DragGAN 논문 리뷰
Score-based Generative model에 관한 포스트입니다.
This post summarizes World-GAN, a generative model for Minecraft world
This post contains brief summary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k.a. GAN.
This post contains a paper review of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including example of V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