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이 채 되지 않았건만 매일 느끼는 좌절감에 몸서리 치는 중인 거 같다. 진짜 내 머리가 이렇게 멍청했던가 싶을정도로 개념마저도 이해가 안되서 계속 영상복습도 틈틈히 하고 있는 거 같다.특히 코플릿 문제는 와...... 이건 뭐 페어 프로그래밍을 할 때마다 느끼는 그
앞서도 언급했던 반복문 for..... ㅎㅎㅎ 정말 헛웃음이 나온다. 나한텐 초기문부터 조건문 그리고 증감문까지 쓰는것 자체가 높다란 벽이다. 그래서 너무 이해가 안되고 답답한 나머지 아고라 스테이츠를 처음으로 써보았다. 심지어 깃허브 이용방법도 몰라서 한참을 헤매다가
반복문이 너무 어려워서 office hour 시간에 어떻게 공부 그리고 복습을 해야할지 여쭤보았다. 그랬더니 강사님이 세세하게 방법을 알려주셨다. 레퍼런스 코드 보고 주석달기코드 지우고 주석에 대한 코드 새로 달기 통과 되는지 확인하기 통과되면 초기화 하고 혼자 다시
웹디자이너다 보니 계산기를 웹페이지에 디자인을 해봤지 이걸 구동시켜보는 건 처음이다. 아 물론 개발자가 만들어놓은 자바스크립트를 가져와서 그걸 변경해보는 건 몇번 있지만 이걸 하나부터 열까지 코드를 짜서 해보는 건 처음이라 신기했다. 물론 페어와 함께가 아니었다면 아마
📌 리눅스 기초 부트캠프와 직장을 병행하다보니 정말 시간이 너무 빠르게 흘러간다. 그래서 일기버전인 이 카테고리에서 개발공부를 시작한지 벌써 33일이나 지났다는 걸 보고 좀 놀랐다. 주중과 주말이 항상 빠듯한 기분인데 반면에 내 공부는 언제나 부족한 거 같다. 난 아
📌 배열 코드스테이츠를 시작한지 한달하고도 열흘이 지났다. 처음 변수 자료형 문자열 조건문을 시작으로 해서 잠시 html css 를 훑고 지나갔고 이후 개발자들이 많이 활용하는 깃과 리눅스 를 배웠다. 그리고 다시 자바스크립트로 돌아와서 배열과 객체를 배웠다. 배열(
office hour 시간에 원시자료형 참조자료형의 기본적인 개념을 훑었다. 원시자료형 : 문자열 숫자 불리언 언디파인드 null 1) 모두 고정된 저장 공간을 차지하는 데이터2) 고정된 데이터3) 변수 하나당 하나밖에 할당4) 같은 공간의 메모리를 차지한다참조자료형
원시타입 데이터: 기존의 데이터에 영향이 가지 않는다참조타입 데이터: 주소를 복사하기에 기존의 데이터에도 영향이 간다. let 과 const 차이(1) let word = "hello world!" word = "hello codestates!" // 하지만, word
var 키워드로 정의한 변수는 블록 스코프를 무시하고, 함수 스코프만 따릅니다. 그러나, 모든 블록 스코프를 무시하는 건 아닙니다. 화살표 함수의 블록 스코프는 무시하지 않습니다.함수 스코프는 함수의 실행부터 종료까지이고, var 선언은 함수 스코프의 최상단에 선언됩
im-sprint-javascript-koans 페어프로그래밍 진행(with 강소라님)(git제출 완료 / github로도 제출완료)코플릿 배열 부분 8,9,10,11,12,13 복습 및 다시풀기Strict Mode즉시 실행 함수 표현식(IIFE)변수 호이스팅과 TDZ
유어클래스 DOM 개념 익히기 js/node 핵심개념(스코프,원시자료형,참조자료형) 체크포인트 복습스프린트 javascript_koan 복습
고차함수 map()메서드 개념map() 메서드는 배열 내의 모든 요소 각각에 대하여 주어진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모아 새로운 배열을 반환고차함수 filter()메서드 개념filter() 메서드는 주어진 함수의 테스트를 통과하는 모든 요소를 모아 새로운 배열로 반환고차함
📌 어제 오늘 공부한 것 1) 어제 코플릿 고차함수 풀기 (by 페어 프로그래밍) 고차함수 코플릿 2번부터 20번까지 2) 오늘 코플릿 고차함수 풀기(by solo) 고차함수 코플릿 21번부터 30번까지 📌 오늘 복습한 것 DOM 스프린트 리뷰 고차함수 스프린
지금은 고차함수 코플릿 진행중이다. 너무나 어렵다. 하지만 나만 어려워하는 건 아닌 거 같아서 그나마 아쥬 조금 위안을 얻는다...ㅎㅎ 여태까지 이해 안되는 코플릿 문제들은 어쩐지 외계어 같았는데 이 고차함수가 정말, 너무나, 진짜로더욱 외계어 같다.... ^^의외인게
오피스 아워 - 고차함수 기본개념 훑기오피스 아워 - 고차함수 코플릿 6번 다시 품(근데 이해 안됨...ㅠㅠㅠ)유효성 검사 실습 복기im-sprint-validation-check배열 코플릿 14번 다시 복기
React는 react는 1. 선언형 2. 컴포넌트 기반 3. 범용성 을 특징으로 한다. 독립성 -> 기능 작동에 집중하여 개발재사용성 -> 유지보수 / 유닛테스트 JSX 활용하나의 엘리먼트 안에 모든 엘리먼트 포함엘리먼트 클래스 사용시 className으로
📌 어제오늘 공부한 것 페어프로그래밍 React intro 과제 수행 및 과제제출(Advanced 는 아직 미완) 리액트에선 이름을 잘 지어줘
연속된 공백을 하나의 공백으로 치환하는 방법 slice()메서드 - 잘라줌unshift()메서드 - 맨앞에 요소추가pop()메서드 - 맨 뒤 요소 삭제, 삭제된 것을 반환 shift()메서드 - 맨 앞에 요소 삭제,
react 기초 office hourjs 100제 10문제 품
React SPA 예습 js100제풀기(11번 ~ 14번)알고리즘 basic 9/10
React SPA 재실습 (im-sprint-react-twittler-spa by 혼자)javaScript Koan 재실습(im-sprint- by 혼자)고차함수 벨로그 기본복습(블로깅)
react 유튜브 공부 및 실습(코딩애플)코드잇 react 영상시청JavaScript Koans 재실습 by myself(06_type_part2 / 07_Array)
☑ js 100제풀기 (14,15,16, 18 번풀기)☑ 알고리즘 basic 풀기☑ im-sprint-javascript-koan 재실습( 08_Object , 09_SpreadSytax) ☑ 페어리뷰
☑ 알고리즘 Basic 문제풀기(12번)☑ js100제풀기(18,19,20 풀기)평균점수 구하기제곱을 구하기몫과 나머지 구하기☑ React State & Props 다시 예습props.children 으로 Learn컴포넌트 안에 있는 값들 {itemOne} {itemT
고차함수 코플릿 복습(6번~ 13번)react 스프린트 코드 복습
코플릿 알고리즘 Basic 12, 13, 14 풀어보기Sprint Review - React 기초
개인적인 일로 인해 조금 멘붕(?)상태이다. 그래서 앞으로의 계획과 다짐과 공부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기로에 서있다. 그래서 오늘 복습도 제대로 했는지 솔직히 자신이 없다... 그래도 아직은 내일과 토요일 오전 시간이 남아있으니까 그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겠다. 그리고
토요일과 일요일에 걸친 첫번째 HA가 끝났다. HA는 hiring assessment 이다. 쉽게 말하면 시험이다. react로 구현하는 과제형 1문제와 문제형 5문제 였는데... 너무나 어려운 것...ㅠㅠㅠ문제형 5문제 중에 2문제는 문제 이해도 어려워서 절절 맸다.
오늘 이렇게나 빨리 체크인이 들어가게 될 줄은 몰랐다..ㅎㅎ 하지만 이렇게 빨리 하니까 뭔까 속시원하기도 하고 더 내가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공부할 수 있을 거 같아서 좋다. 요번주는 크루분들이 체크인 들어가는 시간이 많아서인지 오피스 아워가 없었다. 그래서 요번주
자바스크립트를 점점 더 깊이 배워가기 시작하는 거 같다.. 무섭기도 한데 뭔가 새로운 걸 배우려니까 설레기도 한다 헤헤😊😊그런 점에서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은 잘 산 거 같다. 공부하면서 이게 아주 좋은 사전이자 참고서이자 개념서가 될 듯 하다. 클
어제와 엊그제 페어와 계속 재귀함수 코플릿에 매달렸었다보니 TIL을 작성하지 못했다...ㅎㅎ 재귀함수 코플릿 풀기1) 객체지향의 의의 : 같은 성질을 가진 친구들을 만드는 하나의 기준!컴퓨터만 이해하는게 아니라 사람도 코드를 보고 이해할 수 있게2) 객체 !== 자바스
진짜 거짓말 안하고 어제 밤 늦게까지 페어랑 재귀함수 13번 문제에 매달렸었다. 결국 하도 안 풀려서 아고라 스테이츠의 도움을 받긴 했다...ㅠ그래도 아주 약간은 답에 근접하긴 했다는 걸 스스로 위안 삼기로 했다. 그래도 페어와 함께 같이 고민하는 시간이 도움이 많이
토이 3번 문제는 오로지 내가 혼자 생각해보고 나서 코드를 작성했는데(구글링 안하고!) 테스트 케이스 7문제 중 5문제를 통과했다ㅠㅠㅠ 너무나 감격스럽다ㅠㅠㅠ 진짜 이맛에 사람들이 고통스러워하면서도 개발하는건가 싶기도 하다ㅠㅠ 하지만 문제는 시간복잡도...! 아마 2개
고차함수 코플릿 다시풀기 및 블로깅https://velog.io/@jinlee122700/부트캠프-JSNode기초-2108014-코플릿-다시풀기고차함수HA 3번 문제 다시 풀기 https://www.notion.so/test3-c9711348b7444
어제 갑자기 일이 생겨서 쓰다가 말았다ㅠㅠ 어제 것부터 일단 써야겠다..ㅎ오피스아워JSON.stringify(obj) : 직렬화(serialize) 반대는 역직렬화(deserialize)우리가 재귀를 활용하는 이유? 찾는 해당 아이디나 클래스가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 모
자료구조 Stack / Queue 기본 개념 익히기자료구조 Stack의 특징은 입력과 출력이 하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제한적 접근에 있다. 이런 Stack 자료구조의 정책을 LIFO(Last In First Out) 혹은 FILO(First In Last Out)ex
부트캠프를 진행하면서 매 순간마다 벽에 부딪히곤 했지만 이 자료구조만큼 높고 어마어마한 통곡의 벽에 부딪힌적은 처음이 아닐까 싶다..ㅎㅎ 반복문을 첨 익히기 시작했을때의 그 막막함과 괴로움을 두배로 뻥튀기한 기분이랄까 랄랄라.. 이건 뭐 구글링을 해도, 레퍼런스 코드를
🥲 요즘 문득 드는 생각... 만약 나중에 개발자 직군으로 지원하게 되서 면접에서 이런저런 질문을 받게 되는 것을 상상해보았다. 문득 누군가가 나에게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라는 막연하고도 뜬구름 잡는 것 같은 질문이 들어온다면 어떻게 대답하고 싶을까. > 저는
백신부작용에 시달려도 최소한 진행해야 할 것은 진행했다ㅠ 다리가 너무 저리고 두통에 시시때때로 시달리고 있다. 이러다가 개발자되기전에 백신 부작용으로 먼저 죽는 건 아닌가 싶다ㅋ 자료구조 코플릿 4번 다시풀기 queue에 관련된 문제이다. while문을 돌려서 그 안에
제목에다가 저런 천사 이모티콘을 다니까 뭔가 안 좋은 소식인것 같지만.. 전혀 아니다 오히려 나는 뭐랄까... 더 속이 후련하다. 원래는 파트타임으로 부트캠프과정을 진행하였다. 풀타임 직장과 파트타임 부트캠프를 같이 3개월을 진행하다보니 죽을 것 같았다.....🥲그리
스프린트 beesbeesbees 진행 객체지향 자바스크립트 개념 복습 블로깅 작성https://velog.io/@jinlee122700/부트캠프-JSNode-211005-객체지향-javascript-개념복습스프린트 beesbeesbees 코드복기 블로깅 작성h
자료구조 재귀 개념공부 및 코플릿 진행(with 페어)재귀 코플릿 다시 풀기
와우..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구현했던 스프린트 두개가 기억이 하나도 안 났다.그래서 오늘 빈 백지에서 다시 시작하려니 다시 막막해졌다. 너무 충격이었다. 코스가 변경되는 바람에 이 섹션을 다시 복습하게 되어 좀 수월할 거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그 생각은 아주아주 오만
자료구조 코플릿을 초기화 시켰다. 그리고 코드 한줄한줄마다 왜 이해가 안 되는 지 주석을 달았다. 그리고 페어분에게 싹 다 물어보았다. 능력자 페어 덕분에 너무나 막막했던 차에 왜 이렇게 진행되는지 알 것 같았다. 물론 이걸 새로운 문제에 적용시킨다는 건 별개의 문제지
자바스크립트 비동기처리자료구조 BFS / DFS 기초개념 정리https://velog.io/@jinlee122700/자료구조알고리즘-211014-자료구조-BFS-DFS-기초개념-복습비동기처리 개념 복습 https://velog.io/@jinlee122
오늘 뭔가 이것저것 복습하고 다시 풀어보고, 자료 찾아보건 많은데 그 내용들을 적어보지는 못했던 거 같다. 그래서 뭔가 억울해서 TIL이라도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요번주에 진행한 스프린트들을 통해 페어와 짜낸 코드들을 다시 돌아보면서 '언제쯤 나도 능숙하게 코드
거의 한달반 만에 리액트 챕터를 다시 들어갔다. 히히히히히히 유어클래스 내용을 보니 리셋된 상태라는 걸 너무나 잘 알았다... 그랬던 것이었다....^^다시 정신줄을 붙잡고 다시 section1의 유어클래스 리액트 예제부터 하나하나 다시 복습하던 와중에 동기 분 중 한
📌 오늘의 일기 HA가 얼마 남지 않았다ㅠ 그래서 오전에는 토이문제를 복습하면서 다시 풀고, 오후에는 스프린트와 개념을 다시 복습했다. 스프린트를 다시 보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내가 직접 치면서 하니까 예상치도 못한 오타와 오류와 마주한다. 오류메시지를 왜 블로깅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