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자료구조 중 하나인 연결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많은 자료구조 중 연결리스트를 먼저 소개하는 건, 개인적으로 제일 어려웠기 때문에 ^\_ㅠ... 정리를 하며 알아가고 싶어서이다....)컴퓨터 과학에서 연결 리스트는 메모리의 물리적 배치에 따라 순서가 지
1월 9일에 처음으로 알고리즘을 시작했는데, 이만하면 흡족하다.다른 분들에 비하자면 느린 속도지만, 처음엔 입력과 출력도 못 하던 내가 이제 브론즈 4~5 레벨 정도는 수월하게 풀고 있으니 만족한다.처음 접하는 파이썬에 적응한다고 공식 문서랑 다른 책을 번갈아 가면서
당시 난 다니고 있던 직장에 대해서는 고민이 많았다. ‘나이를 먹어서도 지금 하는 일을 계속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부터 본질적인 고민까지. 난 분명 회사 일을 열심히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게 내 개인의 발전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생각에 너무 괴로웠었다. 자기계
현재 회사는 vue.js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는 react나 순수 js만 사용해본지라 처음에 많이 당황했던 것 같다. 내 생각만큼 못 한다는 생각이 들 때, 내 가치를 증명할 수 없다는 판단이 들 때 사람은 위축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퍼포먼스는 더 떨어지기 마련이고
별 거 없다.React에서 환경변수를 추가하듯 .env 파일에 prefix로 VUE_APP을 써야 하고 \_변수명을 더해주면 된다. React의 경우에는 REACT_APP을 쓰면 된다.이후에 리액트 프로젝트를 할 때에도 참고해야지!ps.나 같은 경우에는 카카오 링크 공
벼르고 벼르던 블로그를 오픈하게 되었다.사실 취업 전에도, 취업하고 난 뒤에도 블로그를 운영해야겠다는 생각은 꾸준히 있었다.하지만 여러 이유들 때문에 그간 망설여 왔었다.시시한 시작이고 싶지 않아서 더 그랬던 것 같다.그렇지만 계속 생각만 한다면영영 블로그를 오픈하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