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 :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는 대상들의 모입 집합을 구성하는 원소들로 구성 집합 표기 : 알파벳 대문자 원소 표기 : 알파벳 소문자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 1) 원소나열법(tabular form) > : 원소들을 일일이 나열 원소의 개수가 무한 개 이거나 유한
수학적 의미 - 특정한 공리들을 가정하고, 그 가정 하에서 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논리적인 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가정으로부터 결론을 유도하는 추론의 한 방법으로 어떠한 명제나 논증이 적절하고 타당한지를 입증하는 작업. 증명을 위해 참인 전제들이 주어
알고리즘 >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유한 집합으로 이루어진 절차나 방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단계 (계획을 세우고 총괄하는 역할)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입력을 파악하고 입력을 처리하는 명령을 단계별로 나열하여 필요한 출력이 나오도록
: 객체들 간의 연관성을 표현한다.다른 두 집합에 속하는 서로 다른 두 원소의 관련사항→ 순서쌍 집합 으로 표현함관계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 : 집합Binary relation R : 두 집합의 곱집합 A X B 의 부분집합: 관계 R의 원소인 순서쌍에서 첫번쨰 원소
반 순서 > : 반 순서 관계(partial order relation, 부분 순서 관계) 집합 A에 대한 관계 R이 반사 관계, 반 대칭 관계, 추이 관계 성립되어야함. 반 순서 관계가 성립되면 순서가 있다는게 확실해진다. 반 순서 집합 partially ord
기본 계수 법칙
수열 : 어떤 규칙에 따라서 원소들을 나열해 놓은 것recurrence relation: 어떤 수열의 각각의 항들의 관계를 나타낸 식, 재귀적 관계점화식의 해 : 점화식을 만족하는 수열점화식의 해를 찾는 것 = "점화식을 푼다" 라고 한다.예시)즉, 점화식은 이전의
Graph theory18세기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오일러에 의해 시작됨.초기 : 수학이나 기하학의 영역으로 출발확대 : 컴퓨터 공학 분야장점 : 여러 자원들이나 도시들 간의 연결 상태를 추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예시)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의
최단 경로 > : 가중치 그래프에서 여러 경로 중에서 가중치의 합이 가장 작은 경로 모든 간선의 가중치의 합 : 그래프의 가중치 다양한 경로 중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경로를 찾는 문제에 활용 최단 경로를 구하기 위해서 많은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하며 그래프가 크고
: 그래프의 특별한 형태로서 회로(Cycle)가 없는 연결 무향(방향X) 그래프트리의 응용 분야하나 이상의 노드(node)로 구성된 유한 집합특별히 지정된 노드인 루트(root)나머지 노드들 : 각각 트리이면서 연결되지 않는 트리들 => 서브트리(부분트리)가 된다.n개
추론 resoning inference argument > : 논리를 풀어가는 과정 논리를 풀어갈 때 참이라고 인정되는 명제들을 나열하여 자신이 주장하는 결론을 유도한다. 논리는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로 구분된다. 명제 논리 Propositional Logi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