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DEEP DIVER
post-thumbnail

안 하느니만 못한 00

조금 과격한 제목일수도 있지만 말 그대로 안 하느니만 못한 일은 하지 말자고 다짐했다. 분석 업무를 할 때도, 미팅을 준비할 때도, 로그 QA를 할 때도 같은 마음으로 임했다. 하지만...

2025년 3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태블로, LOOKUP 함수의 쓸모

전월 동기간 대비 얼마나 증가했나요

2025년 3월 16일
·
0개의 댓글
·

모듈 로깅하기

지난 1년간 플랫폼 팀에서 일하며 모듈 제품 로깅하는 업무를 맡았다. 모듈이란? 여러 팀에서 다양한 제품을 만들다보면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능들이 있다. 이런 기능의 동작을 일관된 경험으로 제공하도록 모듈을 만든다면? 제품팀에서는 플랫폼팀에서 이미 만들어놓은 모듈을 적

2025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실수의 재구성

다시는.. 반복하지 말자..

2025년 1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대시보드는 언제 필요할까

정말 어렵다

2024년 11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글또 10기를 시작하며

마지막 글또 시작!

2024년 10월 13일
·
0개의 댓글
·

글또 8기 완주

겨우겨우 완주했지만 목표는 달성하지 못한 이야기

2023년 7월 16일
·
0개의 댓글
·

[sql] not exists와 not in 차이

not in 대신 not exists를 쓰는 이유

2023년 7월 2일
·
0개의 댓글
·

로그 정의 업무 회고

나는 왜 로깅이 어려웠을까?를 고민하며 배운 점을 기록했습니다

2023년 6월 4일
·
2개의 댓글
·

입사 2주 기록

입사 2주차에는 무엇을 느꼈나

2023년 4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 문해력> 읽고 인프런 분석해보기

내가 인프런 데이터 분석가라면..?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SQL, LAG 함수의 쓸모

LAG 사용 예시 정리

2023년 3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퍼널 정의하고 로그 (다시) 설계하기

'기능을 추가하여 문제를 개선했다'라고만 정리하고, 지표로 확인하기 위한 로그 정의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2023년 2월 26일
·
0개의 댓글
·

글또 8기를 시작하며

완주를 향하여~🏃‍♀️🏃‍♂️

2023년 2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ython으로 Stack 구현하기

Python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를 공부하고 있다. 오늘은 간단하게 자료구조 중 하나인 Stack 구현하면서 typing이나 상속 개념을 정리해보겠다. (이 글은 "타입 파이썬! 올바른 class 사용법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인프런" 강의를 참조하여 작성

2022년 11월 17일
·
0개의 댓글
·

글또 7기 회고글

다짐글에 작성했던 목표들을 돌아보면

2022년 10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B 테스트 설계 용어 (2) / Multiclass AB test 설계

ABCD 테스트는 어떻게 하나

2022년 10월 16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B 테스트 설계 용어(1)

당근마켓 블로그를 읽다가 AB 테스트 내용이 포함된 글을 읽었다. 당근마켓에서 "키워드 알림 등록 기능"은 유저의 재방문에 큰 영향을 주는 기능인데, 중고 거래 검색 필터를 개편하면서 실험 없이 UI를 변경했다가 중요 지표인 "키워드 알림 등록수"가 급격히 감소했다는

2022년 9월 18일
·
0개의 댓글
·

데이터리안 8월 세미나 후기 / 이력서는 서비스 / 양승화 님 인터뷰

인스타를 보다 세미나에 그로스해킹의 저자인 양승화님 인터뷰가 포함되어있다고 해서 신청해봤다. 데이터리안이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는 잘 몰랐는데, 이번에 신청전에 블로그를 들여다보니 데이터 분석가 직무를 준비하면서 도움될 것 같은 자료들이 있었다. 세미나 비용은 1만원이

2022년 9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QL, 데이터를 배열로 저장하는 이유

캐글의 SQL 튜토리얼을 공부하다 Nested, Repeated 데이터타입을 알게되었다. 관측치로 하나의 스칼라 값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테이블의 totals column처럼 json 형태로 저장된 형태였다. 왜 이러한 형태로 저장하는지, 그리고 total

2022년 8월 2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