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대표적인 윈도우 함수 4가지에 대해 설명드리는 글입니다 :)
ETL을 하는 이유는 결국 ELT를 하기 위함이며, 이 때 데이터 품질 검증이 중요해집니다.
MySQL, MongoDB, Biqguery 등 많은 종류의 DB를 사용해보고 수많은 쿼리를 작성해보았지만, 정확히 아킥텍쳐와 실행원리를 뜯어본 적은 없는 것 같아 각각의 DB (MySQL, MongoDB, BigQuery에 대하여 알아보고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지식과 스트리밍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용이한 기술인 Kafka를 소개합니다.
Git에 대한 소개와 Git의 동작원리를 commit의 의미와 충돌을 통해 설명합니다.
OpenAI API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한다. 대표적으로 Text generation API 와 fine-tuning API에 대한 하이퍼파라미터 소개 및 개념에 대해 깊게 서술한다.
데이터는 회사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다하지만 전적으로 데이터만 믿고 따라가기만 한다고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
AWS EC2 관련 스터디를 하던 중 IP에 대한 개념이 올바르게 정립되지 않은 것 같아 2학년 때 수강했던 컴퓨터 네트워크 전공책, 그리고 내가 알고 있는 개념을 정리하여 글을 적게 되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떠오르는 의문점을 해결하는 형식으로 글을 구성했다보니
개인적으로 정리한 Django tutorial에 대한 요약글입니다 :)
Trouble > Colab을 통해 Redshift로의 connection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1주일 전까지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기에 내가 관리하지 않은 웹상 개발환경인 colab에서의 최근에 일어난 update과정이 문제가 되었다고 추론했다. Solve > python ORM인 SqlAlchemy가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는 과...
enumerate(list): 원소와 인덱스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함수 > zip(): iterator 객체 사용하여 병렬처리 가능 >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딕셔너리 형의 객체를 반환하여 요소의 개수를 value로 확인할 수 있
Python 내장함수, 자료형, 정규표현식, 모듈...etc sorted() vs list.sort() Dictionary (key, value 형식) Dictionary 내장함수 (keys(), values(), get(), clear()) Dictionary
문자열 공간 채우기 (zfill(), rjust()) zfill(): 특정 width만큼 0채우기 (단, 이미 width가 채워져 있다면 변화 X) rjust(): 0이아닌 특정 문자 지정 가능 특정 원소 인덱스 찾기 (index(), index()) index()